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 그라민은행과 한국의 저축은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개발도상국인 방글라데시에는 '그라민은행'이 있다. 빈곤층을 대상으로 무담보ㆍ소액대출 을 해주는 은행인데 설립자 무하마드 유누스는 노벨평화상까지 받았다. 본래 경제학과 교수였던 그는 방글라데시의 기아사태를 보며 학문에 회의를 느끼고 대출이라는 형식으로 많은 사람들을 가난에서 건져냈다. 사람들은 그라민은행을 '빈자의, 빈자에 의한, 빈자를 위한 은행' 이라고 말한다.


그럼 이제 이야기를 우리나라 상황으로 돌려보자. 우리나라에도 '한국판 그라민 은행'을 자처하는 곳이 있다. 저축은행과 대부업체들이 그런 곳인데 전국에 모두 수백 곳이 넘는다. 연일 광고를 통해 무담보ㆍ소액대출을 외치는 이들은 덤으로 몇 초만에 대출금을 넣어주는 '신속함'까지 갖췄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국내 소매금융 분위기는 우울하다. 저축은행들은 지난해 영업정지 사태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했고 당국의 후속 조치를 기다리며 숨죽이고 있다. 이자율 위반으로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던 대형 대부업체들도 영업정지까지 가는 최악의 사태는 모면했지만, 몸을 잔뜩 낮추고 있다."우리가 문을 닫으면 서민금융의 역할은 누가 하느냐"는 항변도 이어진다.


결과의 차이는 아주 복합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함부로 얘기할 수 없다. 직접적인 비교도 힘들다. 우리나라와 방글라데시의 경제규모도,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도 다르다.

그러나 급전이 필요한 서민을 대상으로 영업해서 막대한 이익을 내고 있다면 '서민금융'의 역할에 대해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노벨평화상까지는 아니라도 적어도 당국과 사법기관에 하루가 멀다하고 불려가는 애물단지가 돼서는 곤란한 것이다.


금융당국은 최근 상호금융과 보험에 대한 대출규제 강화 방안을 내놨다. 서민 대출 수요가 저축은행과 대부업체로 쏠릴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면서 이들의 역할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한국판 그라민 은행'이 탄생할지, 고리대금업의 낙인을 감수할 것인지는 업계의 선택이다.


김현정 기자 alphag@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현정 기자 alphag@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