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방통위, 17일 제주에서 TV 유휴대역 실험서비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내년 10월까지 1년간..올 12월말까지 TV 유휴대역 활용 기본계획 수립, 상용서비스는 2013년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시중)가 국내 최초로 TV 유휴대역을 이용한 실험서비스를 오는 17일 제주도에서 시작한다고 16일 밝혔다.


방통위는 또 올 12월말까지 'TV 유휴대역 활용 기본계획'을 수립해 내년까지 관련 기술검증 및 제도를 개선하고 2013년 이후 시범서비스 및 상용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TV 유휴대역이란 TV 방송대역(채널 2~51번) 중 지역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있는 주파수 대역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디지털 전환이 완료되는 오는 2013년부터 활용이 가능하다.


방통위는 실험서비스 실시를 위해 지난 5월 TV 유휴대역 활용을 위한 수요조사를 실시, 제주 컨소시엄과 소방방재청 컨소시엄 등 2개 기관을 실험서비스 수행기관으로 선정했다.

이번에 실시하는 실험서비스는 와이파이(Wifi)로 활용되며 제주 올레길 7 코스 외돌개 주변의 관광정보, 맛집, 탐방 소요시간 등의 정보와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지역 주민과 관광객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실험서비스는 내년 10월까지 1년간 진행되며 TV 유휴대역 서비스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방송서비스 보호를 위해 전파출력 및 간섭 실험 등 기술검증도 동시에 진행된다.


미국의 경우 지난 2009년 버지니아 등 4개 지역에 실험 네트워크를 구축해 슈퍼와이파이(Super Wifi), 교통정보, 스마트그리드, 헬스케어 등 실험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유휴대역 활용기기의 기술기준도 마련했다. 영국은 초고속인터넷 인프라가 취약한 스코틀랜드 뷰티섬 지역에서 와이파이 실험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일본은 유휴대역 특구를 선정해 다양한 서비스 모델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오남석 방통위 전파기획관은 "앞으로 TV 유휴대역을 활용한 와이파이, 지하재난영상서비스, 지역정보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가 출현될 것"이라며 "이러한 서비스 출현은 전파산업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오는 22일부터는 소방방재청 컨소시엄이 남양주에서 지하재난영상전송 실험서비스를 실시한다. 소방방재청 컨소시엄은 건물 및 터널붕괴와 같은 지하매몰 붕괴 현장에서 전파 특성이 뛰어난 TV 유휴대역을 이용해 지하 현장의 영상정보를 지휘통제소 등에 전송, 구조활동에 활용하는 실험서비스를 실시할 계획이다.




임선태 기자 neojwalk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