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Mr. 동반성장의 부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2초

최중경 빠지니…얼굴내민 정운찬
중기 적합업종 품목 발표
회의 참석 위원들 직접 설득
국회 법제화 논의도 탄력


Mr. 동반성장의 부활 지난 4일 동반성장위원회 제9차 전체회의 후 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정운찬 위원장(가운데).
AD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지난 4일 중소기업 적합업종 및 품목 2차발표를 위해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회의장 옆에 마련된 브리핑룸을 찾았다. 전체회의를 마친 후 결과를 발표하기 위한 것으로 정 위원장이 이 자리에 직접 나선 건 위원회 출범 초창기 세 차례를 빼곤 이번이 처음이다.


정 위원장은 이날 중소기업 적합업종 및 품목 선정결과와 원칙, 의미에 대해 긴 시간을 할애해 설명했다. 정 위원장이 이번에 직접 나선 것은 사안의 중요성도 있지만 자신의 입지와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 위원장은 동반성장위원장 부임으로 주목을 받다가 초과이익공유제 발표 이후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과 옥신각신하면서 입지가 축소됐다. 그러다 최근 최 장관의 교체를 앞두고 다시 전면에 나서면서 입지와 연관된 행보라는 해석을 낳고 있다.


◆정부, 이번엔 힘 실어줄까=실물경제 관할부처인 지경부 장관의 교체는 정 위원장에게 힘을 실어줄 것으로 보인다. 최중경 현 장관의 교체로 신임 지경부 장관에 내정된 홍석우 코트라 사장은 직전까지 중소기업청장을 역임하는 등 중소기업계 현안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인물이다. 청장 재직 시절, 막걸리를 즐겨 마시는 이유가 "중소기업에서 만들기 때문"이라고 답할 정도였다.


홍 내정자는 기자와 통화에서 "아직 정식 임명전인 관계로 구체적인 대책에 대해 언급하는 건 옳지 않다"며 말을 아꼈다. 현 장관이 여전히 업무를 수행중인 상황에서 섣불리 개인소신을 밝힐 수 없다는 이유를 댔다. 그러나 이는 추후 장관임무를 수행할 때 동반성장 대책과 관련해 충분히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의미로 읽힌다.


정 위원장이 국무총리 재직 당시 홍 내정자가 중기청장을 역임하는 등 이미 같이 일한 경험이 있는 만큼 호흡을 맞추기 한결 수월할 것으로 중소기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현재 동반성장위원회 실무를 담당하는 정영태 사무총장 역시 홍 내정자가 청장 재임 시 차장으로 같이 일했었다.


정 위원장은 최근 기자와 만나 "(장관 내정자 발표 후)아직 따로 만나진 못했지만 같이 일했던 적도 있고 잘 될 것으로 본다"며 내심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달여간 시차를 두고 취임한 정 위원장과 최중경 지경부 현 장관은 동반성장과 관련해서는 '코드'가 맞지 않았다. 정 위원장은 평소 위원회의 인력과 예산이 부족해 업무수행에 차질이 많다고 입버릇처럼 얘기했지만 담당부처격인 지식경제부는 좀처럼 움직이지 않았다. 한때 정 위원장이 사퇴하겠다는 뜻을 내비치자 최 장관이 한발 물러서기도 했지만 둘 사이 간극은 쉬이 좁혀지지 않았다.


◆다시 전면에 나선 정운찬=지난 4일 정 위원장이 직접 중소기업 적합업종을 발표한 일을 두고도 주위에선 다양한 해석을 내놨다.


정 위원장은 지난 3월 최 장관과 갈등이 불거진 이래 위원회 전체회의 사후 브리핑에 직접 나선 적은 한번도 없었다. 주변에선 정치권 외도설이 끊임없이 나돌았다. 지난 9월 적합업종 1차 발표 때는 정영태 사무총장과 곽수근 적합업종 실무위원장만 참석했었다. 한 동반성장위원은 "적합업종 선정이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자 정 위원장이 직접 위원들을 설득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대기업측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지만 국회에서 적합업종 선정을 법제화하는 방안을 두고 논의중인 점도 정 위원장에겐 나쁘지 않은 소식이다. 현재 국회에서는 야당 의원을 중심으로 적합업종 관련 법안을 발의한 상태다.


정 위원장은 이에 대해 "국회에서 논의중인 사안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건 맞지 않다"며 특별한 언급을 피했지만 관련제도가 힘을 얻는 만큼 향후 논의과정에서도 힘을 얻을 것으로 분석된다.


◆남은 과제 더 많은 동반성장=여전히 걸림돌도 많다. 정운찬 위원장이 지난 3월 사퇴의사를 밝힌 후 다시 철회했을 때 이유는 '청와대'였다.


대통령이 국정운영의 중요한 과제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직접 언급할 정도로 정책의 최고의사결정권자가 여전히 자신을 지지해주고 있다는 믿음이었다. 그러나 재보선 패배 등으로 대통령을 둘러싼 정치환경이 급변하면서 청와대 '후광'을 더 이상 기대하기도 어렵게 됐다.


적합업종을 제외한 나머지 동반성장 대책을 아직 전혀 손대지 못한 점도 골칫거리다. 동반성장위원회가 추진하는 대책은 적합업종 선정을 포함해 초과이익공유제, 동반성장지수 산정 등 크게 세분야로 나뉜다.


정 위원장은 세가지 대책에 대해 각각의 큰 그림을 내놓긴 했지만 이 가운데 제대로 된 성과를 내놓은 건 최근 적합업종이 유일하다. 위원회 관계자는 "인력, 예산이 부족해 적합업종 선정작업도 곤란한 점이 많았다"며 "아직 다른 대책들은 제대로 들여다보지도 못했을 정도"라고 말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