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탈북자 그들이 해상경로를 선택한 이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탈북자 그들이 해상경로를 선택한 이유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탈북자의 탈북경로가 국경지대에서 해상으로 바뀌었다. 북한당국이 올해 들어 탈북 경계 태세를 대폭 강화하면서 탈북자들이 해류를 이용한 탈출을 시도하고 있는 셈이다.

양낙규 기자의 Defense Club 바로가기


군관계자는 7일 "북한 주민 21명이 5t급 목선을 타고 지난달 30일 오전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 남하하던 중 해군 함정에 발견됐다"면서 "올해만 해상 탈북은 6번째"라고 말했다.

지난 2월5일 31명이 목선을 타고 집단 남하한 사례가 있었으나 당시 4명만 귀순을 원해 나머지 인원은 북측으로 송환됐다. 하지만 이번 귀순은 20명이 넘는 대규모 인원으로 남녀 비율도 비슷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배를 타고 귀순한 사례는 서해가 4번째이며 동해를 통한 귀순은 2차례다.


해상을 이용한 귀순은 사실상 목숨을 건 탈출이다. 이들이 이용한 5t급 목선은 대략 길이가 10m, 폭은 2m 남짓이다. 5∼6명이 타기에도 비좁은 배에 21명이 타고 바다에 나선다는 것 자체가 자살행위이며 5t급 목선은 파고가 2m만 돼도 뒤집힐 우려가 있는 것이 군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군 관계자는 "위성항법장치(GPS)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지만 GPS마저 없었다면 자신들의 운명을 조류의 향방에 걸 수밖에 없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들이 이렇게 목숨을 걸고 해상을 이용하는 이유는 북한 당국이 국경 지역를 중심으로 경계태세를 크게 강화한 탓이 크다. 이른바 '탈북의 풍선효과'다.


대북 인권단체 ㈔좋은벗들이 발간한 '오늘의 북한소식'(409호)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6월11일 일가족 9명이 소형선박을 이용해 월남하자 해당 지역 보위부원과 보안원을 보직에서 해임했다. 또 보위부는 국경지역에 대한 통제 강화를 요청하는 지시문을 전국에 내려 보내는 한편 국경지역으로 들어갈 수 있는 출입증 발급을 사실상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도 국경지대 경계를 대폭 강화했다. 중국은 순찰차량, 휴대전화 전파탐지기, 전파장애기 등 탈북방지 장비는 물론 비상사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시위 진압용 최루탄과 헬멜등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북한은 1, 2차 핵실험에 따른 국제사회의 제재와 지난해 연평도 사건 이후 우리 정부의 대북제재 조치(5ㆍ24조치) 등에 따라 경제 사정이 여의치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대북 소식통은 "지난 8월 한족 두명이 북한 주민 인신매매 혐의로 총살됐다"며 "중국이 탈북과 관련된 자국 주민을 총살한 것은 처음인점을 감안한다면 탈북자에 대한 북중협력이 강화됐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한국과 중국쪽 탈북경로가 모두 막힌 상황이라면 북한주민들은 앞으로 바다를 통한 탈북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