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일 통화스왑 700억달러로 확대.. 금융안전망 강화 (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아시아경제 채지용 기자] 이명박 대통령과 노다 일본 총리는 19일 정상회담을 갖고 한일간 통화스왑을 700억달러 규모로 확대키로 합의했다. 글로벌 경기둔화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최악의 상황에 대비하는 금융안전망을 선제적으로 강화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날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는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인해 최근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양국 정상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양국간 금융·통화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일 통화스왑이 선제적 금융시장 안정 효과를 거둠으로써 양국 모두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통화스왑을 기존 130억달러에 700억달러로 확대키로 양국 정상은 합의했다.


현재 13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왑은 CMI통화스왑 100억달러(달러원/엔)와 원엔 스왑 30억달러로 구성돼 있으나 원엔 스왑 30억달러를 300억달러로 확대하고 기존 CMI 통화스왑 외에 신규로 300억달러의 달러원/엔 스왑을 설정한다.

특히 이번 한일간 통화스왑은 양국의 통화인 원, 엔 및 달러화로도 공급 가능토록 해 외화유동성 공급효과를 극대화했다.


한국 인출시, 한국은 700억달러 상당 원화를 제공하고 일본은 300억달러에 상당하는 엔화와 미 달러화 400억달러를 제공한다. 일본 인출시에는 일본은 700억달러 상당 엔화를 제공하고 한국은 300억달러에 상당하는 원화와 미 달러화 400억달러를 제공한다.


계약 기간은 체결일로부터 1년으로 당국은 실무적으로 많은 논의가 진행된 만큼 빠른 시일 내에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이번 한일간 통화스왑 확대로 우리나라는 3000억달러 규모의 외환보유액과 중국과의 통화스왑(260억달러 상당)에 더해 700억달러의 외화유동성 공급 라인을 구축하게 됨에 따라 외화유동성 우려를 완화시켜 차입금리 하락 등을 통해 은행과 기업들의 경영여건 개선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다. 또 통화스왑 체결을 통해 외화 유동성을 확충함으로써 국가 신용등급의 안정적 유지를 위한 토대를 강화할 수 있게 됐다.


신제윤 기재부 차관은 "양국에 모두 도움이 되고 선제적이어야 하며, 충분한 규모여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통화스왑 규모를 다섯 배 가까이 늘리고 달러화로도 공급할 수 있도록 했다"며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드무어스(S&P)도 이번 합의로 은행과 기업의 외화차입 비용이 줄어드는 등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했다"고 말했다.


다만 확대 규모가 당초 예상을 뛰어 넘는 등 시장에 오해를 줄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이주열 한은 부총재는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외화안전판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이번 합의가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선제적 조치, 충분한 규모 등의 원칙에 따라 확대 규모가 커진 것으로 당장 인출할 것이 아닌 만큼 오히려 시장에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란 얘기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양국간 통화스왑 확대 소식이 전해지면서 유동성 경색에 대한 우려가 덜어짐에 따라 전날보다 13.7원 큰 폭으로 하락한 1131.9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채지용 기자 jiyongch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