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저축銀 12%…대출문턱 높아져 서민도 죽을 지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저축銀 12%…대출문턱 높아져 서민도 죽을 지경
AD



[아시아경제 이지은 기자]금융권 전반의 연체율이 일제히 상승하는 이유는 올들어 실물경제가 악화되면서 가계 및 기업들의 상환능력이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란 게 금융당국의 반응이다.

물론 연체율의 절대수준은 아직 미국 등 주요국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유로존 재정위기 등 외부 불안요인들로 인해 국내 실물경제가 타격을 입으면 향후 연체율이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금감원 고위관계자는 7일 "연체율 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실물경제 악화로 기업과 가계가 대출상환을 못 하는 일이 없는지,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에 집중해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권 뿐 아니라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과 서민들의 최후의 보루인 서민금융마저 연체율이 급상승하면서 당국도 검사시 연체율 부문을 신경써서 보고 있다는 것.


연체율이 높아지면 금융회사들의 부실비율이 높아지면서 건전한 자산에도 영향을 미치고, 결국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해치게 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부실자산들은 썩은 사과가 다른 사과들을 썩게 하는 것처럼 다른 자산들의 건전성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은행권의 경우 부실채권비율이 1%포인트 높아지면 지난 6월말 현재 기준으로 고정이하 여신에 대해 2조6000억원 규모의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한다.


비은행권 금융기관들의 경우 은행들보다 연체율 절대 수준이 더 높아 우려를 사고 있다. 저축은행은 평균 연체율이 12%, 신협의 경우 6.8%에 달하는 등 시중은행의 3~6배 수준으로 높다. 정부가 저축은행에 대한 구조조정을 일단락지었고, 신협과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기관에 대한 본격적인 감시에 나섰지만 점차 커지고 있는 부실규모를 줄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연체율 상승으로 인한 피해는 서민들이 고스란히 뒤집어쓸 것으로 보인다. 금융기관들이 연체율을 관리하느라 대출 문턱을 높이면, 급전이 필요한 서민들은 결국 좀 더 높은 금리를 주고 돈을 빌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당국이 최근 은행권 대출을 억제하면서 대출수요가 2금융권으로 옮겨간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원은 "여러가지 경제 문제들이 남아있는 상황이고, 해결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앞으로 시장 상황이 개선되기보다는 불안이 지속될 가능성이 큰 만큼, 연체율은 한순간에 급격하게 높아질 수 있다는 가능성에 염두를 둬야 한다"고 말했다.


당국은 일단 추이를 지켜보면서 사태에 대응해 나간다는 반응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9월 연체율 결과까지 지켜보고 나서 연체율이 확실히 오르고 있다고 판단하면 대책마련에 나서겠다"며 "일부 계절적 요인이 연체율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선제적 대응에 나설지는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단 최근 실물경기 침체로 인해 향후 신규연체가 폭증할 가능성이 있어 계속 눈과 귀를 열어두겠다는 입장이다.




이지은 기자 leez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