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마트폰으로 찍은 바코드 '식료품' 가장 많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상품정보 확인을 위해 스마트폰으로 바코드를 찍어보는 소비자들은 식료품 정보를 가장 궁금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 700여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을 통한 상품바코드 활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스마트폰을 통해 바코드 조회가 가장 많이 이뤄지는 상품은 식료품(30%)이라고 23일 밝혔다. 식료품에 이어 도서·음반(15.2%), 생활용품(13%), 의류패션(11.4%), 화장품(9.9%), 전자제품(6.1%) 순이었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최근의 국내 수해와 일본 방사능유출로 식료품 가격인상과 안전성을 걱정하는 소비자들이 많이 늘었다"며 "상품바코드 스캔을 통해 가격, 제조사, 원산지 등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얻고자 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소비자들이 상품바코드를 통해 확인하고 싶어하는 정보로 가격(45.5%)을 가장 많이 꼽았고 할인정보 및 할인쿠폰(20.8%), 제조업체 및 브랜드(11.6%), 원산지(7.7%), 제품후기(6.8%), 영양정보(3.8%), 알레르기 정보(2.5%) 등이 뒤를 이었다.

소비자는 바코드 조회정보가 실제 상품정보와 다를 경우 구매를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잘못된 바코드 검색정보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물은 결과, 72.9%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이럴 경우 70.6%의 응답자는 '브랜드 이미지 또는 제조업체 이미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답해 바코드 검색정보 관리가 매출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줬다.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상품바코드를 찍어 얻는 상품정보를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바코드스캔 상품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물은 결과, 94.9%의 응답자들이 보통 이상이라고 응답했다.


김무영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장은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하는 바코드 상품정보 조회가 하루 평균 2만건을 넘어섰다"며 "잘못된 상품정보 노출은 기업이미지까지 타격을 줄 수 있는 만큼 기업들은 소비자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정확한 상품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