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李대통령 '공생발전'…與 '적극 환영' vs 野 '말 잔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여야는 제66주년 8·15 광복절을 맞아 이명박 대통령이 제시한 '공생발전' 에 대해 극과 극의 평가를 내놓았다.


이 대통령은 이날 "발전의 양과 질이 보장되면서 격차를 줄이고, 일자리가 늘어나는 성장, 서로가 보살피는 사회, 행복을 자유롭게 추구하는 사회로 나가야 한다"며 '공생발전'이라는 새로운 시장경제 모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나라당 김기현 대변인은 이같은 대통령의 주장에 "오늘날의 경제위기 현상을 극복하는 동시에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방향"이라며 "대한민국 보수의 최고의 가치인 ‘서민을 따뜻하게, 중산층을 두텁게 하는 것’이기에 적극 환영한다"고 반겼다.


이어 "한나라당도 앞으로 '공생발전'을 통하여 모든 국민들이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친서민 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일부 야당이 주장하는 '과잉복지'가 아닌, 서민 위주의 '맞춤형 복지'를 실현해 재정건전성 확보에도 매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해 대통령께서 '남북 간 협력의 자세'를 강조했듯이, 한나라당은 불신과 대결로 점철된 남북관계를 회복하는 일에 앞장 서 광복의 참 뜻을 실천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야당의 반응은 냉소적이다.


민주당 이용섭 대변인은 "복지에 대한 대통령의 현실인식에 문제가 있고 부자감세도 철회하지 않으면서 제안한 공생발전과 재정건전성 주장은 화려한 말 잔치로 끝날 공산이 크다"고 비판했다.


또 "승자독식을 가속화하는 친재벌정책을 거두지 않으면서 공생발전과 동반성장을 이야기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자유선진당 임영호 대변인은 " '따뜻한 보수'의 가치를 국정운영에 반영하겠다니 어쨌든 반가운 일이나 해법과 실행계획은 부족했다"며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는 2013년까지 균형재정을 달성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한 다짐 역시 구체적인 실행의지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우려했다.


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 역시 "이 대통령의 경축사는 독도 문제는 외면하고 남북관계는 무대책이며 재정파탄을 야당에 떠넘기는 등 무책임의 극치를 달렸다"고 비난했다.


진보신당 강상구 대변인 또한 "시장경제의 새로운 발전모델로 공생발전을 얘기한 것은 상황인식과 처방이 잘못됐다"고 말했다.




심나영 기자 sn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