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통큰결단? 자충수? 삼성의 IMK 지분매각 보는 中企 속내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2초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삼성이 최근 그룹 내 기업소모성자재 구매대행(MRO)사업을 정리하겠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주요 계열사가 갖고 있던 아이마켓코리아(IMK) 지분 58.7%를 처분키로 한 것이다.


연매출 1조5000억원이 조금 넘는 계열사의 지분을 정리하는 건 삼성에게는 큰 일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MRO를 둘러싼 갈등이 업계를 넘어 사회ㆍ정치권으로 번진 상황에서 삼성의 결정은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일부에서는 환영했고, 다른 이들은 우려하기도 했다. 직접 마찰을 빚기도 했던 중소기업계는 어떨까. 또 논란의 당사자인 삼성의 속내는 무엇일까.

◆"통큰 결정", "회사가치 떨어뜨린 자충수"…의견분분=삼성의 결정에 먼저 반응한 건 정치권이었다. 일부 의원은 "통 큰 결정"이라며 반겼다. 아예 당 차원에서 "삼성의 대승적인 결단으로 상생의 첫발을 내딛게 됐다"고 논평을 낸 곳도 있었다.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에 부응하고 비핵심사업을 정리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는 게 그룹의 공식적인 이유였기에, '손해를 감수하고 용단을 내린' 삼성에 대부분 박수를 보냈다.


이와 달리 증권가에서는 회의적인 시선을 보냈다. 삼성이 지분을 정리한 이후에도 거래를 지속하겠다고 했지만 투자자들은 '삼성 프리미엄'이 사라지는 건 아닌지 우려했다. 이달 초 2만7000원을 넘나들건 주가는 발표 이후 단 며칠 만에 만원 가까이 떨어졌다. 일주일간 사라진 시가총액만 3000억원에 달한다.

다른 대형 MRO업체들도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업계 1위 서브원을 계열사로 둔 LG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회사운영에 대한 방침을 결정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포스코나 웅진은 자신들의 MRO사업의 경우 이익률이 현저히 낮거나 원자재 비중이 높다는 등 다른 MRO 대기업들과 성격이 판이한 점을 부각했다. 대형 MRO업체들이 이같은 반응을 보이는 건 그만큼 사회가 보는 시선이 곱지 않다는 걸 방증한다.


◆中企 "지분매각보다 앞으로가 어떨지가 중요"=정작 대립각을 세웠던 중소기업계는 덤덤한 반응이다. 삼성이 지분을 내놓기로 했지만 결국 회사(IMK)는 그대로 남기 때문이다. MRO비상대책위원회 김윤식 사무국장은 "기존 삼성과의 거래물량을 그대로 유지하는 등 지분매각만으론 큰 변화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라며 "처분할 지분이 어디로 가는지, 기존 합의내용을 그대로 유지하는지 등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뚜렷이 결정된 건 없지만 60%에 달하는 IMK 지분이 어디로 갈지는 중요한 내용이다. 우선 다른 국내 대기업이 인수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지금의 논의가 대기업MRO업체와 중소업체간 갈등에서 비롯됐던 만큼 다른 대기업이 인수할 경우 같은 잡음이 또 일어날 여지가 높다.


중소기업중앙회 등 중기 유관단체가 컨소시엄을 구축해 인수할 가능성도 그리 높지 않다. 전국 주요 협동조합으로 구성돼 가장 규모가 큰 중소기업중앙회의 경우 중소기업 전용 TV홈쇼핑, 제4이동통신 등 굵직한 사업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어 자금여력이 녹록지 않다.


무엇보다 걸리는 점은 중앙회가 IMK와 대립각을 세웠던 중소 베어링, 문구, 골판지 등을 만드는 업체와 중소 MRO업체를 회원사로 두고 있다는 점이다. 중앙회 관계자는 "현재 회원사들의 이익에 반하는 사업을 할 수는 없지 않느냐"며 "지분매입 검토는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매각불발 가능성도 배제 못해=현실적으로 많이 거론되는 해외 대기업이 지분을 사들이는 일 역시 간단치 않다. 대형 MRO업체들을 향한 국내여론이 따가운 상황에서 어떤 해외기업이 감히 투자하겠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해외 투자자가 대주주로서 직접 경영권을 행사하는 외국계기업이 될 경우 기존까지 국내 중소기업과 사업조정을 통해 합의했던 내용이 백지장이 되는 거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IMK를 비롯한 대기업MRO업체 상위 4곳은 그룹 내 계열사 물량과 각 계열사의 1차협력사까지만 영업하겠다고 중소기업계와 합의한 적이 있다. 사업조정을 통해 합의된 내용인 만큼 이 내용은 법적 구속력은 없다. 합의 당시 IMK가 나서긴 했지만 최근까지도 실질적인 사업방향을 삼성그룹에서 결정했던 만큼 지분매각 후 별개 회사로 활동할 경우 약속이 깨질 가능성도 있다. 이처럼 해외기업으로 매각은 중소기업계나 정부가 바라는 내용이 아니다.


결국 매각이 성사되지 않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같은 매각불발은 삼성으로서도 나쁘지 않은 상황이다. 정부나 정치권이 원하는 대로 용단을 내렸는데, 정작 시장이 반응하지 않는데 어떻게 하느냐는 이유를 댈 수 있기 때문이다. 할 수 있는 일을 다했기에 여론의 화살도 피해갈 수 있다. 삼성의 이번 결정을 두고 "역시 삼성"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최대열 기자 dy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