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680억달러 보유 추정… 악재 속에도 가격상승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미국의 부채한도 증액 협상이 잠정 타결되면서 디폴트(채무 불이행) 우려도 수그러들고 있다. 국내외 금융시장 관계자들도 일단 한숨을 돌렸다.
만약 미국 부채한도 증액이 디폴트 시한인 2일을 넘긴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금융시장 관계자들은 협상이 지연돼 시한을 넘긴다고 해도 미 국채 이자 지급은 정상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다른 지출은 줄이더라도 국채 상환에 최우선으로 대처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실제 미 국채 금리는 디폴트 우려에도 불구하고 최근 한달간 1년 미만 단기물을 제외하고 모두 떨어졌다. 일례로 5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지난달 29일 종가 기준 1.36%로 한달 전보다 0.33%포인트나 내려갔다. 채권금리가 하락하면 가격은 오른다. 즉 미 국채 보유자들은 그만큼 평가이익을 본 것이다. 예를 들어 듀레이션(원금회수기간)이 3년인 5년 만기 미 국채를 갖고 있다면 최근 한달간 1% 가량의 평가이익을 거둔 셈이다. 채권가격 변동률은 듀레이션에 금리변동률을 곱해 계산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은행이 외환보유고를 통해 약 630억달러어치 미 국채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국민연금 및 금융기관 보유분을 더하면 대략 68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국내 금융기관들은 수익률이 낮은 미 국채에 거의 투자하지 않고 있다. 국내 보유 미 국채가 모두 10년물이고 듀레이션이 5년이라고 가정하면 최근 한달간 약 10억달러의 평가이익을 본 셈이다.
이처럼 악재 속에서도 미 국채의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그래도 여전히 미 국채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유럽 재정위기도 미 국채 가격을 높이는 데 한몫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미국 투자은행(IB)인 리먼브라더스가 파산했을 때도 안전자산 수요가 커지면서 채권금리는 오히려 내렸다"며 "최악의 경우 미 국채 금리가 오른다고 해도 다른 나라 국채 금리는 이보다 더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미 국채 금리가 오른다고 해도 안전자산으로서 가치가 변하지는 않을 거라는 설명이다.
미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되더라도 미 국채 금리가 크게 오르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안전자산으로 미 국채를 찾는 수요가 여전히 많다는 이유에서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현재 미국이 처한 상황은 신용디폴트 위기라기보다는 일시적 유동성 위기"라며 "경제적 측면보다는 정치적 측면이 강해 금융과 관련해서 리먼브라더스 파산 사태나 남유럽 구제금융 같은 위기가 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박민규 기자 yushi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민규 기자 yushin@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