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대重 노조위원장 "노조 역할은 투쟁보다 혁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현대重 17년 무쟁의 비결
오종쇄 위원장 "화합 중요"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회사가 잘 될 때 성과만 요구하는 노조가 돼서는 안됩니다.” 현대중공업의 17년 연속 무쟁의 임금협상 타결을 이끈 오종쇄 노조위원장(52)은 본지와의 전화인터뷰에서 “노조의 역할은 투쟁, 요구보다 '혁신'”이라고 밝혔다.

현대重 노조위원장 "노조 역할은 투쟁보다 혁신" 오종쇄 현대중공업 노조위원장
AD

오 위원장은 “고용을 책임지는 노조는 해당산업을 이해하고 10년 뒤를 예측해야 한다”며 “그래야 노동가치를 유지하고 (사측에)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은 생산성 향상을 위해, 노조는 고용유지를 위해 혁신이 필요하다”며 “투쟁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지 않고, 잘 될 때 성과만 요구해서도 안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현대중공업 노조 설립 이후 최초의 연임 위원장인 오 위원장은 지난해 대기업 최초로 타임오프제(근로시간 면제제도) 도입을 이끈 인물이다. 당시 그는 “선진 노조로 변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수용 입장을 밝혔다.


올해 임금협상은 타임오프제 도입 이후 첫 협상이다. 그러나 오 위원장은 올해 달성한 '17년 연속 무쟁의'라는 기록에 큰 의미가 없다고 언급했다. 한 사람이 아닌 여러 사람, 노조 전체가 찬반투표를 거쳐 합의한 것으로, 시기나 숫자에 특별한 의미를 둘 이유는 없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금융위기 직후 조선 산업의 위기를 발 빠르게 파악, 사측에 임금단체협상을 위임하는 데 앞장서기도 했다.


오 위원장은 “임금, 근로조건을 떨어뜨리지 않는 길 내에서 회사와 함께 위기를 극복하려한 것”이라며 “해운사들이 자금난을 겪으며 한국 조선업이 최악의 국면에 처할 수 있었던 상황이었다. 위임 시 다수 노조원들이 이런 절박성을 갖고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지금도 넓은 의미에서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고 본다”며 “좋을 때도 언제나 위기를 생각해야 한다”고 경계했다.


1984년 현대엔진(1990년 현대중공업과 합병) 입사 후 노동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다는 그는 '역지사지', '원칙' 중심의 노사론을 강조했다.


오 위원장은 “협상 시 사측에서 한번 거절한 안건은 파업해도 끝까지 안되는 것이어야 하고, 파업을 통해 통과될 안건이라면 그 전에 대화로 이뤄져야 한다”며 “그 원칙이 이뤄지지 않으면 파업은 반복된다”고 언급했다. 오 위원장은 2007년부터 현대중공업 노조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조슬기나 기자 seu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