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은, 7월 기준금리 3.25%로 동결.. 대외불확실성, 가계부채 우려 (상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아시아경제 채지용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대외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가계부채가 한국경제의 불안요인으로 떠오르면서 두 달 연속 금리인상은 부담이 됐을 것이란 지적이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되고 있어 다음 달에는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14일 한은이 기준금리를 전달과 같은 3.25%로 유지한 배경에는 지속되는 대외불확실성과 급증하는 가계부채 문제가 있다. 물가가 여전히 고공행진을 계속하고 있지만 물가상승세는 다소 완화됐다는 점도 이번 금리동결 결정에 힘을 보탰다.

대외불확실성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그리스, 포르투갈에 이어 이탈리아 재정난까지 불거지면서 잠잠해 지는 듯 하던 유로존 재정악화 우려는 또 다시 부각되는 모습이다. 이에 더해 지난달 2차양적완화정책이 종료된 미국에서는 고용지표가 부진한 가운데 무역적자가 크게 늘어나는 등 경제지표가 악화되면서 경기회복세 둔화 조짐이 뚜렷하다.


아울러 급증한 가계부채 문제도 금리정상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 가계부채가 1000조원에 달하는 가운데 금리가 오르면 서민들의 이자부담이 늘어 가계부실을 초래할 수 있다. 정부는 가계부채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가계부채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5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물가상승세는 다소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금리동결에 따른 부담감을 어느 정도 덜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국제유가와 농수산품가격 하락에 힘입어 전달보다 0.3% 하락했다. 전달 0.1% 하락에 이어 두 달 연속 내림세를 지속했다.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도 지난 3월 7.3%로 정점을 찍은 후 점차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도매물가를 뜻하는 생산자물가지수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향후 물가안전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이정준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한은이 견제하고 있는 경기하방 위험요인이 좀처럼 해소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연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하기 쉽지 않다”며 “특히 남유럽 재정위기의 심각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 금리동결에 힘을 실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소비자물가의 고공행진이 부담스러운 상황이지만 6월 소비자물가 상승 원인이 기저효과와 축산물 가격상승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금리 인상보다는 축산물 가격 안정을 위한 미시적 대응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물가는 여전히 매우 높은 수준이다. 특히 변동성이 큰 농산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가 급속히 상승하면서 장기적인 물가불안 요인이 확대되고 있다. 지난달 금통위원들이 만장일치로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한 이유다.


이번 달에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동기대비 4.4% 오르면서 지난 1월 이후 4%대를 유지하고 있다. 4월과 5월에는 다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지난달 들어 다시 반등했다. 정부는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종전 3% 수준에서 4%로 상향 조정했다.


또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상반기 근원물가 상승률은 3.2%로 지난 4월 한국은행이 수정경제전망에서 예상한 3.1%를 넘어섰다. 특히 지난달 근원물가는 전달보다 3.7% 올라 2009년 5월 이후 25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5월 근원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8% 상승하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1.6배에 달하기도 했다.


이처럼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특히 향후 버스, 지하철 등 공공요금 인상도 예정돼 있는 상황에서 한은은 이번 달 한 번 숨을 고른 뒤 다음 달에는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또 중국인민은행과 유럽 중앙은행(ECB)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올리고 있다는 점도 금리인상 요인이라는 지적이다.


골드만삭스는 “지속적인 물가 상승세를 고려할 때 당국이 금리인상과 원화절상용인을 통해 물가안정에 중점을 둘 것”이라며 “한은은 8월중 한차례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포함 하반기에 총 0.5%포인트 정도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채지용 기자 jiyongch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