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충훈 기자] 대학생,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을 위해 도심 철도부지 위에 주거시설을 갖추는 방안이 마련된다.
한국교통연구원(원장 황기연)은 오는 13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철도부지의 입체복합개발을 통한 도심 주거단지 조성'에 관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도심의 철도역 및 철도선로 위에 주거시설을 설치한다는 아이디어다. 대학생 기숙사, 젊은 직장인을 위한 도시형생활주택, 저소득층과 신혼부부를 위한 장기전세아파트를 저가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재훈 철도연구실장은 토론회에서 현재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도심의 철도 부지와 선로 상부공간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국유지인 철도부지를 주거시설로 활용하면 취약계층 뿐만 아니라 역세권 개발에도 힘을 실을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자료로 가좌역 철도선로 상부 1만8000㎡의 인공대지를 조성사례가 제시된다. 해당 부지에 ▲20층 대학생 기숙사 2개동(각 420실, 23㎡, 1실 2인) ▲20층 장기전세아파트 4개동(73㎡ 총 400가구) ▲20층 도시형생활주택 1개동 (33㎡ 총 240실)을 공급 가능하다는 것이다.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대학생 기숙사는 사립대 기숙사비의 38% 수준으로 관리비 포함 월 15만원에 입주할 수 있다. 도심형 생활주택은 주변 오피스텔의 80% 수준인 월 40만원(관리비 별도)에 입주 가능하다. 장기전세아파트는 전세보증금 1억 2000만원에 최대 20년 거주(2년 단위 재계약, 최대 5% 상승)할 수 있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연구원은 월 임대료 수입과 장기전세 보증금, 재계약 상승분만으로도 국가 재정 지원 없이 운영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또 해당 사업은 시행자가 계획수립, 시설설계 및 인허가, 공사 및 입주의 3단계 과정을 총 4~5년 안에 완료할 수 있다. 기존 역세권 개발사업처럼 주민간 불협화음이 없으며 단기간에 도심에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원은 지상 철도선로 공간은 어디든지 적용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연구원은 서울지역의 후보지 6곳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장기전세아파트 3856가구, 대학생 기숙사 8097실, 도심형 생활주택 2313실이 공급 가능한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소음·진동 등 철도부지 활용 주거공간에 대한 불만 사항은 설문조사 결과 4.5%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정 지하철 차량 기지 상부에 건설된 임대아파트 입주민 등 1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62.7%는 "처음엔 조금 생소했으나 별다른 불편이 없다"고 답했으며 '우려는 되나 일상생활에 불편함은 없다"(13.6%), "다른 아파트와 차이를 못느끼겠다"(18.2%) 등의 답변이 잇따랐다.
박충훈 기자 parkjov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