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민노-진보, '北-유시민' 변수에 재결합 '진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통합이 기로에 섰다. 분당 3년 만에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이라는 대원칙에 가까스로 합의하면서 급물살을 타는 듯 보였지만, 북한의 3대 세습문제에 대한 합의문 해석 문제에 이어 '유시민 변수'가 새롭게 떠오르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각각 19일과 26일에 당 대회를 열어 합의문 승인과 통합 안건을 처리할 예정이지만 인준 여부는 불투명하다.


논란의 시작은 북한의 세습 체제에 대한 양당 대표의 '고공전'에서 시작됐다. 조승수 진보신당 대표는 지난 2일과 8일 라디오 방송에서 "북한의 3대 세습 자체가 민주주의나 우리 국민 정서에 적합하지 않다"며 "잘못된 것이라는 점을 (합의문에) 분명히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정희 민노당 대표는 "합의 내용을 왜곡했다"고 정면 반박했다.

북한에 대한 양당의 입장차는 지난 3년 전 분열의 불씨였다. 시간이 흘러 진보대통합의 기치로 다시 뭉치기로 했지만, '종북주의' 논란에서 시작된 정파적 노선 갈등은 여전히 양당의 화학적 결합을 어렵게 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 국민참여당과의 통합 문제도 새로운 변수다. 이미 양당 대표들은 감정싸움 수준으로 전개된 상황인데다 이 대표가 참여당을 통합 대상으로 인정하면서 갈등은 더욱 증폭됐다. 이 대표는 지난 10일 "참여당의 연석회의 참여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며 진보정당 통합에 참여당을 포함시킬 것을 주장했다. 이에 대해 조 대표는 13일 한 라디오에 출연해 "진보정당들끼리 통합을 진행하기로 해 놓고, 전혀 진보정당인지 아닌지 확인되지 않은 세력(참여당)과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참여당의 문제가 변수로 등장하자 이 대표는 21로 예정됐던 유시민 참여당 대표와의 공동 출판기념회를 진보신당의 당 대회 이후인 7월 초로 연기했다.

유 대표는 참여당이 진보정당 통합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조 대표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14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각자가 조금씩 변해야겠지만 모든 면에서 완전히 생각이 똑같다면 통합의 효과나 새로운 정당을 만드는 효과는 별로 없다"며 "완벽하게 모든 세부적인 정책에 대해 똑같아야 한다고 생각하면 큰 정당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김달중 기자 da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