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대重, ‘조류력발전’ 상용화 눈 앞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독자기술 500kW 발전설비, 울돌목서 해상시운전 성공


현대重, ‘조류력발전’ 상용화 눈 앞 현대중공업이 진도 울돌목에 설치한 조류력 발전 실증설비
AD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현대중공업이 태양광, 풍력에 이어 조류력(潮流力)까지 진출하며 그린에너지 사업의 보폭을 넓히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전라남도 진도군 울돌목에서 독자 개발한 500kW급 조류력 발전 실증설비의 설치 및 시운전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조류력 발전은 물살이 빠른 곳에 프로펠러 모양의 수차(水車)를 설치하고 해수의 흐름으로 수차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청정 재생에너지면서 날씨에 관계없이 24시간 안정적인 발전이 가능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9월 울산 본사에서 육상 성능시험을 마친 데 이어 이번에 해상 시운전에도 성공함으로써 조류력 발전의 상용화를 눈 앞에 두게 됐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지난 5월 1일 이 설비를 설치한 이래 한 달여의 시운전을 통해 유속(流速) 당 출력과 효율이 당초 설계목표를 상회하는 결과를 얻었다"며 "본사 수조(水槽)에서 성공한 발전설비가 변화무쌍한 수중(水中)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전력을 생산해 내며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발전설비는 세계 최초로 수차와 증속기(기어), 발전기를 수중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한 직결(直結)식 동력전달 방식을 채택, 전력의 손실을 줄이고 내구성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수차를 양쪽에 설치해 밀물과 썰물의 조류 방향에 관계없이 발전이 가능하다.


현대중공업은 그간 1700여척의 선박을 건조하며 쌓아 온 프로펠러 제작 노하우와 전력, 전기부문 기술을 통해 조류력 발전설비를 독자 개발하게 됐다. 회사측은 이번 시운전 과정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해 발전설비의 경제성을 확보하고 MW급으로 대용량화 하는 데 노력할 방침이다.


또한 2014년 완료를 목표로 국책과제인 ‘MW급 단지용 조류력 발전시스템 개발’을 추진하는 동시, 향후 국내외 조류력 발전단지 구축 사업에도 적극 참여할 계획이다.




조슬기나 기자 seu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