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철 사장 “올해 신용회복기금 법정기금화 추진”
“올해 신용회복기금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는데 주력하겠습니다.”
장영철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은 “신용회복기금을 공사법에 반영해 신용회복 및 서민금융지원사업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겠다”며 이처럼 밝혔다.
신용회복기금은 저소득·저신용층, 금융소외계층을 돕기 위한 종합자활지원사업이라는 게 장 사장의 설명이다. 신용회복기금은 7000억 원을 재원으로 △바꿔드림론 △행복잡(job)이 프로젝트 △캠코 두배로 희망대출 △채무 재조정 등을 운영한다. 지난 2008년 12월말 업무를 시작한 이후 올 4월말 현재 24만2200명에게 새 삶의 기회를 제공했다.
장영철 사장은 “공사가 서민금융에 주력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다”며 “바꿔드림론, 채무재조정, 소액대출 등의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서민의 신용자산을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종합자산관리회사로서 위상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바꿔드림론의 활성화 방안과 관련, 장 사장은 “올해 신용보증 금액을 지난해보다 늘려 1800억 원까지 지원할 방침”이라며 “많은 저소득·서민층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오는 6월부터 신청요건을 대폭 완화하고 신청 창구도 현재 6개 은행에서 16개 은행 전 지점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행복잡(job)이 프로젝트는 ‘근본적인 자활이 곧 일자리’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진행 중이다. 신용회복지원 고객을 고용하는 기업에 정부보조금(650만원) 외에 추가로 고용보조금(270만원)을 지급한다. 기업의 고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캠코는 이 프로젝트로 지난해 7월말부터 4월말 현재 523명의 취업을 지원했다. 채용실적도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장 사장은 “금융소외계층은 일반구직자보다 취업이 더 어렵다”며 “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도 캠코의 중요한 사업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업무제휴를 맺고 있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연계를 한층 강화키로 했다. 지방자치단체와 사회적 기업 등으로 업무제휴 영역을 확대한다. 이로써 구직자의 여건과 수요에 맞는 안정된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그뿐 아니다. 캠코는 신용회복지원 고객에게 은행의 낮은 금리로 의료비, 학자금 등 긴급생활자금을 대출해 준다. 바로 ‘캠코 두배로 희망대출’을 통해서다. 1인당 연 4%로 최대 500만원까지 대출해 준다.
이 제도는 신용회복지원 고객의 악순환을 방지하기 위해 고안됐다. 금융채무불이행 기록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사금융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하자는 취지다.
신용회복지원이 실효성을 확보하려면 ‘맞춤형 자활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장 사장은 “채무조정에서 취업지원까지 서민의 신용자산 전반을 관리하는 종합서민금융지원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역설했다.
장 사장은 “바꿔드림론을 이용한 뒤 생활고 때문에 다시 고금리의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지원하겠다”며 “즉 연 4%의 금리로 긴급생활자금을 대출해주는 등 이중, 삼중의 안정장치를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장 사장은 지난 2010년 11월 취임 직후부터 서민현장에 직접 나가 서민들의 애로사항을 듣고 신용상담, 서민금융 캠페인, 쌀 나눔 등의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 3월 KB금융그룹과 사회공헌 양해각서(MOU)를 체결, 다양한 사회공헌활동도 준비 중이다.
이밖에 캠코는 지방자치단체의 서민복지제도와 서민금융지원사업간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광역자치단체와 연속적으로 MOU를 맺고 있다. 이처럼 캠코는 종합서민금융기관으로서 서민경제와 함께 성장해 왔다.
한편 캠코는 지난 1997년 국내 처음으로 신용회복지원제도를 도입했다. 저소득·서민층의 신용회복과 경제자활을 돕기 위해서다.
지난 2003년 카드대란의 여파로 양산된 370만 명의 금융채무불이행자를 지원하기 위해 배드뱅크인 ‘한마음금융’과 ‘희망모아’를 설립·운영하고 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2008년 9월 ‘신용회복기금’을 설치·운영하면서 올 4월말 현재 총 130만 명의 금융소외계층에게 신용회복의 기회를 제공했다.
이코노믹 리뷰 김경원 기자 kw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