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대위아, “국내외 생산능력 확대...그룹 물량비중 줄인다”(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창원=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현대자동차그룹 계열 현대위아가 글로벌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는 과정에서 대대적인 생산능력 확대에 나선다. 또한 해외시장에서 그간 사용해온 ‘HYUNDAI KIA MACHINE’ 대신 ‘HYUNDAI WIA’를 브랜드화하고 그룹 외 물량을 확대하는 등 독자적인 사업 영역을 구축키로 했다.


현대위아, “국내외 생산능력 확대...그룹 물량비중 줄인다”(종합) 임흥수 현대위아 대표
AD

임흥수 현대위아 대표이사는 2일 창원 본사에서 열린 국제 공작기계 전시회(HINEX2011) 기자간담회에서 “대륙별 특성에 맞는 전략적 라인업, 친환경 제품, 공장자동화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 대표는 “올해 공작기계 분야에서만 매출 1조원을 올릴 계획”이라며 “올 하반기까지 OEM물량을 포함, 국내외 공작기계 생산물량을 전년 대비 50% 이상 늘어난 1450대까지 늘리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 주문해도 6개월 가량 기다려야 할 정도로 수주 적체현상이 빚어지고 있다”며 “6월부터 공작기계 전시회 장소에서 공작기계 완제품 및 부품 조립을 시작, 300만대 체제를 확립하고 서해안 시대로 일부 부서를 이동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현대차 계열사가 위치한 서산, 당진 등지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자동차그룹 등에 납품하는 자동차엔진 등의 생산량도 확대할 예정이다. 임 대표는 “모닝에 공급하는 카파엔진 수요가 계속 늘어나고 있어, 현 생산량 대비 30% 늘리도록 추진 중”이라며 “5월부터는 지금까지 공급하지 않았던 듀얼클러치트랜스미션(DCT) 양산에도 돌입한다. 현대차가 새로 출시한 벨로스터에 탑재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임 대표는 “체코, 폴란드, 슬로바키아 등 동유럽 지역에 공장을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며 “CV 조인트 최초 생산물량은 30만대 정도 해야 하지 않겠냐. 향후 80만대 수준까지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공장 부지는 아직까지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전시회를 계기로 그간 사용해온 해외시장 브랜드 명에서 ‘KIA MACHINE’을 떼버린 현대위아는 현대차그룹의 물량 비중을 향후 3년안에 10%가량 낮춘 65%대로 줄인다는 목표다.


임대표는 “현대차그룹 비중을 낮추기 위해 그룹 계열사에 공급하는 물량 외에 GM, 르노, 크라이슬러 등 세계 유수의 기업들과도 상담 중”이라며 “3일 GM의 아시아태평양 구매 총괄 담당이 전시회를 찾는다. 프레스, 트랜스미션 등에 대한 협의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임 대표는 이날 현대위아의 공작기계가 이란으로 수출되지 못하도록 미국 정부가 우리 정부에 요쳥했다는 위키리크스의 폭로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임 대표는 “직접 전략물자를 이란에 수출한 적은 없다. 이란에 공작기계가 흘러간 것은 인근 터키 대리점이 재수출한 것”이라며 “그룹으로부터 전략물자를 수출하지 말라는 지침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처 통제를 못한 책임을 물어 터키 대리점 교체를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조슬기나 기자 seu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