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65세 이상 장애인, 미혼자녀와 동거해도 동일연금 지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권익위, 지급대상 선정기준에 미혼 동거자녀 재산 반영않도록 권고


[아시아경제 황상욱 기자] 65세 이상 장애인의 경우 동거자녀의 혼인(경력)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한 장애인연금 부가급여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이 추진된다.

국민권익위원회는 미혼자녀 집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경우 자녀 재산이 수급자 선정기준에 반영되면서 부가급여를 받지 못하는 사례가 생기는 것을 개선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의 개선안을 마련해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권고했다고 1일 밝혔다.


권익위에 따르면 장애인연금은 기초급여와 부가급여로 나눠 매달 9만1200원에서 최대 15만1200원까지 지급되는데 장애인 본인과 배우자의 경제적 수준만 반영되는 기초급여와 달리 부가급여는 기초생활수급자 선정기준을 적용받아 동거자녀의 재산이 반영된다.

기초수급자 선정기준 중 '별도가구 인정특례' 때문에 결혼한 자녀의 집에 거주하는 장애인은 가구 분리를 인정받아 본인과 배우자의 경제적 수준이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면 부가급여(월 5만원)를 받다. 반면 동일 조건에서 미혼자녀의 집에 거주하는 장애인은 자녀 재산이 지급대상 선정기준에 평가·반영되면서 부가급여 지급대상에서 탈락하는 불합리한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권익위는 장애인연금 부가급여 지급을 위한 대상을 선정할 때 미혼자녀 집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장애인에게도 별도가구 인정특례를 확대적용해 동거자녀의 혼인(경력)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한 장애인연금 부가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장기적으로는 장애인연금 제도 도입 취지에 맞도록 장애인과 배우자의 경제적 수준이나 장애정도에 따른 별도의 부가급여 지급기준을 마련하도록 권고했다.


권익위 관계자는 "이번 제도개선 권고로 일부 불합리한 장애인연금 지급기준이 개선되고 궁극적으로는 장애인연금의 도입 취지인 중증장애인 생활안정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황상욱 기자 ooc@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