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과학벨트’, 충청권 민심은 어디로 흘러가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염홍철 대전시장·범충청권비상대책위, “대통령 문제 해결 나서야”…결의대회, 성명서 발표 등 계획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과학벨트’ 분산배치와 관련, 충청권의 반발이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염홍철 대전시장과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범충청권비상대책위원회가 8일 입장을 밝히는 자료를 내고 이명박 대통령에게 문제해결을 요구하고 나섰다.


염 시장은 지난 6일 최근 교육과학기술부와 정치권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삼각벨트(대전, 대구, 광주) 구상에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염 시장은 “지난 2월 이후 정부의 과학벨트 관련한 공식입장은 ‘과학자의 의견을 들어서 법대로 하겠다’는 원칙론에 입각한 것이었다”면서 “정부가 앞에선 법대로 하겠다면서 뒤로는 각 지역에 나눠주기식의 국책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분산배치는 과학벨트를 정치벨트로 만들어 당초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염 시장은 이어 “최근 언론에 보도된 대통령과 일부 지역 시·도지사 면담내용이 사실이 아닐지라도 대통령께서 한나라당과 교과부가 국민에게 약속한 것을 없는 걸로 한다는 건 충청권 시·도민으로선 납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충청권의 과학벨트입지는 대통령 대선공약에 따른 신뢰회복차원이기도 하지만 그 보다도 각 정당, 과학계, 사업의 추진주체인 정부에서도 객관적으로 인정한 부분이었다”면서 “지금처럼 정치적 관점에서의 논의가 계속된다면 최종입지가 선정되더라도 국민적 신뢰를 얻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벨트 대선공약이행 범충청권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도 성명을 내고 “과학벨트와 관련한 국론분열과 지역분열은 더 이상 안 된다”며 “문제해결에 이 대통령이 나설 것”을 촉구했다.


비대위는 “과학벨트의 구체적인 분산배치도까지 보도되면서 한나라당 최고위회의에선 대통령 인품 발언까지 나오면서 사퇴하라는 고성이 오가는가하면 분기탱천하는 충청권은 물론 지역별로도 찬반여론으로 국론분열이 최고조에 이르는 지경”이라고 밝혔다.


비대위는 이어 “과학벨트입지선정을 앞두고 나라가 두 동강 날 지경에 이르렀다. 이렇게 되자 급기야 정부는 어제 과학벨트 첫 번째 위원회 회의를 열면서 해당 장관은 과학벨트 분산배치계획이 없음을 강조했지만 이제는 콩으로 메주를 쑨다한들 믿을 국민이 없게 됐다”고 비판했다.


비대위는 “이번 사태의 모든 책임은 이 대통령과 집권여당에 있다”면서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은 이번 사태를 불러온 책임을 지고 대국민사과와 결자해지 차원에서라도 약속대로 과학벨트 충청권입지를 확정 짓는 등의 후속대책을 마무리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충청권은 지난 5일 청와대 앞 방문을 통해 250만명 충청인의 서명지를 전했다. 과학벨트 입지당위성 논리 제출, 범충청인 과학벨트 사수 2차 결의대회 개최, 추가 성명서 발표, 교과부장관 방문 등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가 결정될 때까지 정부를 압박하고 설득할 계획이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