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오락가락’하던 대전도시철도, 자기부상열차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경·중전철 사이서 중심 못잡은 염홍철 대전시장, “정부가 자기부상열차 원해, 지상화는 반대”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대전의 도시철도 2호선이 중전철을 포기하고 경전철을 지하화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열차기종은 자기부상열차가 될 전망이다.


그러나 대전시가 민선 5기 8개월간 중전철과 경전철을 두고 오락가락해 정책에 일관성이 없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게 됐다.

2호선은 2006년에 중전철로 하겠다며 예비타당성 검토에 들어갔지만 정부로부터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떨어진 뒤 경전철로 추진됐던 사업이다.


당시 관저동∼정부대전청사∼KAIST∼충남대를 도는 30.8㎞의 경전철을 구상했는데 경제성을 나타내는 수익편익지수 BC에서 기준 1에 못미치는 0.73이 나와 맞지 않다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염홍철 대전시장이 지방선거 때 중전철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해왔고 당선 뒤에도 “경전철은 많은 문제점을 가졌다”며 중전철 건설을 중앙정부에 건의했다.


지역국회의원 등 정치권에도 꾸준히 중전철 건설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염 시장은 3월 월례기자회견서 중전철을 접고 경전철로 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의 예비타당성 검토를 통화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염 시장은 기자회견서 “도시철도 2호선의 기본원칙은 진잠~신탄진 30km를 지하화하는 것”이라며 “전체예산의 60% 이상 국비지원사업이므로 차종에 있어선 중량전철이 쉽잖다”고 밝혔다.


염 시장은 이어 “대전시와 다른 시·도의 공동노력으로 지난 1월 말 기획재정부에서 예비타당성(이하 예타) 조사제도를 일부 개선(BC 10~20% 상향) 했으나 대전시가 추구하는 지하중전철엔 만족시킬만한 개선은 아니다. 따라서 지하화는 그대로 지키고 중량전철을 경량전철로 바꾸는 것을 깊이있게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열차방식에선 정부가 추천하는 자기부상열차로 될 가능성이 커보인다.


염 시장은 “최근 중앙정부가 국내 실용화를 통한 해외수출을 위해 자기부상열차를 적극 권하고 있다”면서 “대전시는 경제성을 높여 예비타당성 검토를 통과할 수 있게 자기부상열차 지하화방안도 하나의 유력한 검토대상으로 놓고 기종별로 면밀히 검토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자기부상열차는 1993년 대전엑스포행사 때 시민들에게 첫선을 보인 뒤 10년에 걸쳐 수정·보완됐고 최근 인천 영종도에 시범구간설치를 위한 공사를 하고 있다.


대전시는 도시철도기종을 다음 중 결정키로 했다. 오는 5월 주민들 의견을 들어 2호선의 노선건설계획을 확정, 6월까지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예정이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