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감동'빠진 야권연대..코너에 몰린 참여당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52초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이명박 정부의 심판과 정권교체를 내건 '야권연대'가 야권 지지층에서조차 감동을 주지 못하고 있다. 민주당과 국민참여당의 자당 이기주의에 몰입한 채 벌이는 샅바싸움이 원인이다. 무엇보다도 참여당이 중재에 나섰던 시민단체의 마지막 제안이었던 '백지 위임장'을 거부하면서 야3당을 비롯해 시민사회의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유시민 참여당 대표가 코너에 몰린 셈이다.


4ㆍ27 김해을 국회의원 보궐선거는 지난해 7월 은평을 보궐선거와 꼭 닮았다. (본지 3월 25일자) 당시에도 민주당과 참여당은 자당 후보들의 경쟁력을 앞세우며 벼랑 끝 대치 끝에 선거 이틀 전에 극적으로 단일화에 합의했다. 이 과정에서 보여준 양당의 이기주의는 6ㆍ2 지방선거에서 보여준 감동을 만들지 못한 채 은평을 선거는 야권의 참패로 끝났다.

김해을 선거도 이와 유사하게 흐르고 있다. 민주당은 국민참여경선을 요구했고 참여당은 여론조사를 주장했다. 시민단체가 1차 중재에 나서면서 참여경선과 여론조사를 50%씩 반영하는데 의견을 모았다. 문제는 현장투표에 참여하는 선거인단 추출 방식을 둘러싸고 무작위 추출(민주당)과 인구통계를 감안한 추출(참여당) 방식이 갈리면서 양당이 첨예하게 대립했다.


시민단체는 다시 2차 중재안으로 양당에 '백지 위임장'을 제안했다. 시민단체에서 논의해 단일화 방안을 확정하겠다는 뜻으로 민주당은 최고위원회의 진통 끝에 이를 수용했지만, 참여당은 이를 거부했다. 민주노동당을 비롯해 야3당과 시민단체는 이러한 참여당을 '야권연대 정신 훼손'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김선일 참여당 순천 예비후보조차 2일 당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원내 진출이란 당의 목표가 야권연대라는 국민의 희망에 우선했다"며 "결국 협상은 무산됐고, 참여당은 그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게 됐다"고 당 지도부를 비판했다.


참여당의 버티기 배경에는 김해을 선거가 갖는 상징성 때문으로 보인다. 내년 총선에서 고정 기호를 갖기 위해서는 원내 진출이 불가피한데다 이번 김해을 선거가 아니면 국회의원 1석 확보가 불가능하다. 또 노무현 적자 논란을 불 지핀 참여당으로선 자존심을 건 싸움일 수밖에 없다.


민주당도 마찬가지다. 후보 경쟁력에서도 앞섰던 순천을 다른 야당을 위해 양보한 상황이다. 김해을마저 양보할 경우 당내 역풍에 직면할 수 있다. 더군다나 이번 선거는 순천, 김해을, 강원도지사 모두 '박연차 게이트'로 다시 치러진다는 점에서 '억울한 선거'라는 당내 분위기도 맞물려 있다.


2차 중재안의 수용 거부로 참여당이 코너에 몰렸다. 강기갑 민노당 전 대표는 "시민단체가 참여해 중재한 사안에 대해 거부함으로써 국민의 뜻을 받들지 않는 참여당이 어떻게 노무현 정신을 잇는다고 할 수 있겠는가"라며 "저 세상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이 모습을 본다면 어떤 심정이겠나"라고 비판했다. 강 전 대표는 민주당에 대해선 "정권 심판의 상징적 선거구인 김해을에서 선거승리를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면 국민 염원을 외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지만 참여당의 책임론에 무게를 실었다.


유 대표는 4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이러한 시민단체와 다른 야당의 비판에 대해 "무엇보다 큰 잘못은 강자의 횡포에 굴복안한 것"이라며 항변했다. 그는 "부당한 경선방식을 요구한 데에 대해서 맞서는 것을 정략적으로 보기 시작하면 이 세상에 정의가 어디에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민주당 한 핵심 관계자는 "참여당이 창당을 하면서 '참여당의 창당은 야권 분열이 아니라 연대와 연합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재정 전 대표)이라고 했는데, 야권연대 협상 고비마다 참여당이 버티기가 있었다"고 반박했다.


정치평론가 고성국 박사는 "양당의 욕심으로 국민에게 감동을 주기는 틀렸다"며 "대의를 위해서 내가 저도 좋다는, 자기를 던지는 진정성이 있을 때 국민들이 감동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는 표를 계산하는 모습으로 이런 상태로는 막판에 단일화가 되더라도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협상 결렬의 책임 소재에 대해선 "양쪽 주장이 나름대로 이유가 있고 그렇게 할 때 자신들이 유리하다는 계산이 있어 옳다 그르다고 얘기할 것은 아니다"며 신중한 입장이었다. 그는 "다만 시민단체들이 참여당의 책임론을 제기한 것은 참여당이 아무리 억울하다고 해도 그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달중 기자 da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