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無노조' 재정부, 다음달 직장협의회 출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6초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오는 4월 기획재정부에 노동조합을 대신할 직장협의회가 들어설 전망이다. 재정부 노조가 지난해 10월 '정부의 외압' 논란을 남기며 민주노총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에서 탈퇴한 후 반 년만이다. 사실상 노조 집행부가 와해된 뒤 재정부 노조는 5명의 비상대책위원회 대의원들이 이끌어왔다.


대의원 가운데 한 명인 남북경제과 조용감 주무관은 29일 "새로운 노조 대표를 선출하기 위해 지난 14일부터 후보자 등록을 받았고, 1명의 후보가 나섰다"면서 "오는 30일과 31일 이틀 동안 노조원 투표를 진행해 조합원 과반수가 투표하고, 투표자 과반수의 득표를 얻으면 차기 대표로 확정된다"고 설명했다.

단일후보로 나선 인물은 국유재산과 임주현 주무관. 단 임 주무관이 당선되더라도 '노조위원장' 명칭은 쓸 수 없다. 편의상 '노조'라 부를 뿐 재정부 노조는 지난해 사실상 붕괴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대표는 '재정부 직장협의회 대표'가 된다. 직협은 노조와 달라 대외활동 불가능하며, 수유실 낙후시설 개선 등 주로 사내복지 관련 이슈에 대해 발언하게 된다. 직협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사측(재정부)에 신고해 윤증현 장관의 설립증을 받아야 한다.

한편 민혜수 전공노 前 재정부 지부장은 2009년 7월 민주당이 서울역 광장에서 개최한 시국대회에 참석했다는 이유로 지난해 해임됐다. 그는 그해 5월 서울행정법원에 부당해임 처분 취소소송을 냈고, 승소한 뒤 올해 2월 노조 활동이 불가능한 민간투자정책과로 복직해 근무하고 있다. 현행법상 인사, 예산, 보안, 회계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노조 활동이 불가능하다.




박연미 기자 ch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