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물가상승률 1%p 낮추려면 성장률 0.5%p 낮아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아시아경제 이윤재 기자] 중동의 민주화 시위, 일본의 대지진 등 국제정세의 불안으로 국제유가·원자재·곡물 가격이 날마다 고공행진을 벌이고 있다. 신흥국의 경제성장도 빠른 속도로 이뤄지면서 글로벌 경제는 성장의 고민을 넘어 인플레이션 고민에 걱정이 깊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정책금리를 인상하는 등 급격한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기 위해서 움직임을 시작하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정부가 물가상승률을 1%포인트 낮추기 위해서는 성장률이 추세치보다 0.25%포인트 낮아지게 된다고 분석했다.

LG경제연구원 27일 ‘물가 낮추려면 성장 얼마나 희생해야 하나’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분석했다. 보고서는 “단기적으로 볼 때 정책금리가 인상되면 물가상승률은 하락하지만 성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인플레이션율의 하락에 수반되는 비용인 성장의 하락율을 ‘희생률(sacrifice ratio)’이라고 한다고 연구원은 전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외개방도가 높고 원자재 등을 거의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세계경제 상황에 따라 물가상승률이 큰 영향을 받는다. 때문에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물가상승률을 조정하기가 더 힘들다고 꼬집었다.


정성태 LG경제연구원 책인연구원은 "1970년대 발생했던 두 차례의 오일쇼크 기간 중 경기하강보다는 물가안정에 주안점을 두고 정책을 시행한 독일의 경제적 성과가 그렇지 않던 다른 국가들보다 나았다는 연구결과도 참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잡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물가 대응 정책으로 중앙은행에 대한 신뢰를 높여야 한다"며 "물가상승률이 높은 국가들과의 공조를 통해서 디스인플레이션을 펼친다면 정책의 효과도 높고 신뢰도도 높아져 장기적으로 물가상승률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윤재 기자 gal-r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