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나라, '정운찬 카드' 미련 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한나라당에서 4.27 재보궐 선거 경기 분당을 후보로 정운찬 전 국무총리에 대한 '전략공천설'이 끊이질 않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작 정 전 총리는 15일 마감된 공천 신청에서 접수조차 않는 등 불출마 의사를 분명히 했지만, 당 일각에선 '정운찬 카드'에 미련을 못 버리고 있다.


표면적인 이유는 당선 가능성이다. 민주당에서 손학규 대표가 출마할 경우 이에 대항할 수 있는 '필승 카드'가 필요한데 정 전 총리가 적임자라는 논리다. 여권에선 손 대표가 경기지사를 역임한 만큼 수도권에서 우호적인 표가 많은데다, 분당을 지역이 최근 전세난 등으로 서울에서 밀려난 30~40대가 몰려들면서 야당 성향으로 바뀌고 있다는 위김감이 팽배하다. 만약 이번 재보선에서 이 지역이 패배할 경우 수도권 의원들의 동요는 더욱 커질 것이 자명하고, 이는 현 정권의 레임덕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 정 전 총리의 경우 17대 대선에서 야권의 러브콜을 받은 만큼 대권주자 반열에 있는 손 대표와 '맞대결'이 가능한데다, 그의 진보적인 이미지는 젊은 층의 지지를 되찾아올 수 있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정 전 총리가 최근 주창하고 있는 '이익공유제'도 한나라당의 보수 이미지를 희석시키는데 한 몫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같은 이유로 '정운찬 불가론'을 내세우기도 한다. 경기 분당을 지역이 신흥 부촌인 만큼 여전히 보수층이 다수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당 소속 여의도연구소 김현철 부소장은 18일 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 전 총리)의 이익공유제 발언이 지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실제 최근 여연에서 실시한 후보 적합도 조사 결과 강 전 대표가 33.8%로 정 전 총리(27.5%)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 안팎에선 마땅한 대권주자를 찾지 못한 친이(친이명박)계가 정 전 총리를 '박근혜 대항마'로 키우기 위해 적극 밀고 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정 전 총리가 대권주자인 손 대표를 꺽고 당선될 경우 일시에 대권주자급으로 성장할 수 있는데다, 개헌에 미온적인 손 대표가 낙마할 경우 정권 탈환에 적신호가 켜진 민주당에서 개헌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어 '1석2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당내 중진그룹의 경우 다선의 강재섭 전 대표가 당선되면 6선이 되는 만큼 국회의장단 경쟁 등 정치적 입지가 줄어들 것을 우려해 반대해 정 전 총리를 밀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지연진 기자 gy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