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올 산불 심상찮다’ 산림청 비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산불방지특별대책기간 앞당겨…예년보다 1주일 앞당겨 15일부터 모든 행정력 동원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올해 산불이 심상찮다’는 전망이 나와 주무관청인 산림청에 비상이 걸렸다.


산림청은 15일 이날부터 4월20일까지를 ‘산불방지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산불 막기에 모든 행정력을 동원키로 했다. 이는 예년보다 1주일 앞당겨진 것이다.

이날까지 11일째 건조특보가 발효되는 등 메마른 날씨가 이어지는 데다 날씨가 풀리면서 산을 찾는 사람이 크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농촌과 산촌의 논?밭두렁 태우기 등도 줄지 않아 산불위험이 여느 때보다 높다는 분석이다.


지난 2월부터 봄철 산불조심기간을 설정, 운영 중인 산림청은 이달 중순부터 다음 달 중순까지를 산불우려가 가장 높은 때로 보고 있다.

해마다 이 무렵에 한해 산불피해의 90%가 생기고 올 4월까지의 강수량이 예년보다 적을 전망이어서 산림청은 더욱 산불방지에 신경 쓰고 있다.


2002년 충남 청양·예산(3000ha 피해), 2005년 강원 양양(1000ha), 2009년 경북 칠곡(400ha 피해) 산불 등 최근 10년간 30ha 이상 피해를 입힌 대형 산불 40건 중 25건이 이 때 났다.


일선행정기관이 구제역 방역과 매몰지 사후관리에 매달려 있고 4월 재·보궐선거 일정도 잡혀있어 산불방지를 위한 행정력 확보도 여의치 않다.


산림청은 대책기간동안 산불상황실장을 국장으로 높이고 전국 300여 산불방지대책본부를 확대 운영한다. 상황실 근무인원도 평소보다 2배 이상 늘리고 24시간 비상근무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산불의 가장 큰 원인인 입산자실화와 소각도 집중 단속한다. 입산통제구역 무단출입, 입산자 불씨취급, 산림 인근지역 불법·무단 소각 등이 단속대상이다.


이런 행위에 대해선 불을 내지 않았더라도 과태료를 물리는 등 엄중 처리된다. 산불을 냈을 땐 경찰과 합동으로 가해자를 끝까지 찾아내 법적 조치를 한다.


대형 산불 위험이 높은 동해안지역에선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 군·경찰·소방 등이 합동으로 ‘동해안 산불관리센터’를 운영된다. 산불진화헬기 가동률을 90% 이상 이어가고 취약지엔 산림헬기를 배치한다.


류광수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올해 산불 방지여건이 불리하므로 국민들의 협조가 절실하다”면서 “산에 갈 땐 절대로 불씨를 다루지 말고 숲과 가까운 곳에서 불태우기를 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