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노원구,동 주민센터 중심 ‘복지공동체’ 만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2초

동 주민복지협의회 구성해 복지사각지대 찾아 나서...참여와 나눔을 통해 지역 내 복지 문제 주민 스스로 해결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노원구(구청장 김성환)는 공공부조의 사각지대에 있는 틈새계층, 위기가정 등에게 삶의 희망을 주고 참여와 나눔을 통해 상부상조하는 동 중심 복지공동체를 만든다.


구는 이제까지의 구 단위 중심의 복지체계를 동 중심의 복지체제로 전환해 동 주민복지협의회를 구성하는 등 지역 내 복지 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어려운 이웃을 보살피는 복지공동체로 거듭나고 있다.

◆동 주민복지협의회 구성, 취약계층에 실질적 지원책 마련


노원구,동 주민센터 중심 ‘복지공동체’ 만든다 김성환 노원구청장
AD

구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을 중점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동 주민복지협의회’를 구성한다.

이를 위한 ‘노원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운영조례’를 지난 2월 15일 개정했다.


개정 조례에 따라 동 주민복지협의회가 대표협의회와 실무협의회로 나누어 각각 30명 이하로 구성돼 지역사회 내 복지문제를 주민들이 스스로 해결해 나간다.


동 주민복지 대표협의회는 주민자치위원장, 동장, 통장협의회장, 복지시설기관장, 자원봉사캠프장, 종교계, 교육고용관계자, 기업대표 등 자원지원이 가능한 선한이웃들을 위원으로 위촉해 협의회를 운영하고 외부자원을 개발, 동원,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실무협의회는 동 주민센터, 정신보건센터, 북부고용센터, 교육복지전문가, 지역자활센터, 사회복지관 등 참여기관 실무자들로 구성해 상호 연계와 실무 협의를 통해 복지대상자를 사례관리 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연계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실직이나 파산 등으로 갑자기 위기가 닥친 가정의 경우 동 주민센터에 지원을 요청한다면 동 주민복지협의회를 통해 지역 내 선한 이웃으로 부터 법정복지급여 외 민간서비스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한다.


구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운영하는 솔루션 위원회를 통해 실제적으로 명확한 지원을 받아 일시적 위기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한편 구는 지난해 10월 구청 직원 37명을 줄여 각 동 주민센터에 2~3명의 행정인력을 보충해 줌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이 버거운 행정업무에서 벗어나 위기가정이나 틈새계층에 대한 사례관리와 현장조사를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한 바 있다.


구는 주민과 가장 가까운 행정조직인 동 주민센터가 복지 허브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지역 내 복지관, 종교시설 등 민관 복지자원을 연계한다.


또 주민복지협의회를 구성, 법정 복지급여로 해소되지 않는 틈새 계층 복지수요까지 아우르는 보편적 복지로 확대하고 일촌 나눔 공동체 사업도 적극 전개할 예정이다.


◆주민생활 잘 아는 통장님은 노원구 복지도우미


노원구에서는 그동안 행정보조자 역할에 머물렀던 통장이 ‘복지도우미’로 거듭난다.


지역 주민들의 사정을 가장 잘 아는 통장을 지역사회 복지도우미로 임무를 부여해 복지 수혜대상자를 파악하고 지원을 협조하게 했다는 것이다.


구는 이를 위해 지난해 12월말 관련 조례를 개정했다.


종전의 고지서 전달 등 단순한 행정정보 전달의 통장의 역할에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보건·복지 도우미로서의 임무를 더한 것이다.


또 ‘지역사회 복지도우미로 거듭나는 통장’이라는 주제로 통장 워크숍을 정기적으로 개최해 통장이 스스로 복지도우미로 활동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


이와 함께 통장의 자긍심과 책임감을 높이기 위해 오는 3월부터 680여명의 통장 집에 ‘복지도우미’라는 문패를 달아 지역 내 어려운 이웃들이 가까운 통장을 방문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김성환 구청장은 “현장 중심의 효과적인 복지시스템을 갖춰 틈새계층, 위기가정 등 생활이 어려운 분들에게는 희망을 주고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역 내 민간 복지자원을 활용하겠다”며 “복지 수요가 많은 노원구를 참여와 나눔을 통한 지속성장 가능한 복지공동체로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생활복지과(☎2116-3650), 자치행정과(☎2116-3134)




박종일 기자 drea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