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동규 회장 커지는 고민 "저축銀 공동계정에 노코멘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부실 저축은행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계정 도입에 대해 이런저런 입장을 표명했던 신동규 은행연합회장이 최근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삼화에 이어 부산·대전저축은행이 추가로 영업정지 조치되는 등 '썩은 사과 골라내기'가 확산되면서 공동계정에 대한 논의가 첨예한 상황이지만 실무부서 등 내부 직원들에게 입단속을 시킨 뒤 자신도 노코멘트로 일관하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 회장은 저축은행 공동계정 이슈에 대해 실무부서에 함구령을 내렸다.


이는 당초 회원사 입장에서 공동계정 도입에 반대했다가 정부를 의식해 '조건부 도입'으로 말을 바꾸면서 회원사의 비난이 거세지는 등 그의 향후 행보에 부담이 커진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 살리기로 가닥을 잡은 정부 측과 예금자의 재산을 부실 저축은행 회생에 사용하는 것에 여전히 부정적인 금융권 사이에서 선택한 고육지책인 셈이다.

신 회장은 지난해 12월 은행연합회 기자간담회에서 "공동계정은 금융회사 이익이 아닌 은행 예금자나 보험 계약자가 낸 보험료에서 떼는 것으로 이들의 동의 없이 실시하면 반발이 있을 것"이라며 "저축은행 구조조정에 쓰려는 목적이기 때문에 은행, 보험 등 여타 금융업계가 불만을 갖고 있다"며 회원사의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그는 불과 한 달도 안돼 예금보험공사의 공동계정 설치에 대해 상시적이 아닌 긴급한 비상상황에 한해서라면 검토할 수 있다는 식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신 회장은 은행장들과 조건부 공동계정 설치에 상당 부분 합의를 봤으며 조만간 금융당국과 협의를 개시할 예정이라고 의견 조율 과정도 언급했다. 손해보험업계 부실 문제에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이 공동계정을 만들어 자금을 조성했던 외국의 사례도 소개하면서 정부의 입장에 힘을 실어줬다.


금융권은 신 회장의 이 같은 오락가락 행보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금융권 고위관계자는 "처음부터 공동계정 도입에 대해 대승적인 관점에서 접근했다면 차라리 나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태진 기자 tjj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