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CJ, 대한통운 인수전 참여 효과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아시아경제 임철영 기자]현대증권은 7일 CJ의 대한통운 인수전 참여에 대해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볼필요는 없다고 평가했다.


전용기 연구원은 "CJ그룹은 현재 CJ의 자금력만으로 충분히 대한통운을 인수할수 있다고 판단한다"며 "보유현금 5000억원과 삼성생명 지분 매각 대금 7000억원을 합쳐 총 1.2조원의 가용현금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삼성에버랜드 지분도 매각이 가능해질 경우 1000억원의 추가자금 조달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한통운의 인수가를 2조원으로 가정했을때 CJ가 1.2조원의 자체 현금을 사용한다면 나머지는 충분히 풋백옵션이 없는 FI를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더불어 삼성생명지분을 보유하기 보다는 대한통운 지분을 보유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며 인수 시너지도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전 연구원은 "CJ가 보유한 삼성생명 지분은 현재 배당투자외에는 큰 의미가 없다"며 "이를 매각해 대한통운을 인수하는 것이 자산의 효율적 사용이라는 측명에서 합리적"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CJ 자회사중에 물류회사인 CJ GLS 및 CJ 건설, CJ오쇼핑과의 인수시너지가 발생하고 IFRS 도입으로 영업권 상각에 대한 부담이 없어지는 등 긍정적인 요인들도 있어 이번 M&A가 CJ주가에 부정적인 영향만을 주지만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시너지에 있어서는 CJ그룹이 롯데그룹에 비해 뒤진다고 지적했다.


전 연구원은 "인수 후 시너지만 놓고 보면 롯데그룹은 유통, 건설, 상사부문에서 대한통운과 상당한 시너지를 누릴 것으로 예상된다"며 "따라서 정성적 평가에서 롯데그룹이 CJ그룹에 비해 상당히 높은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CJ그룹이 대한통운을 인수하기 위해 롯데그룹에 비해 상당히 높은 가격을 제시해야하지만 이는 상대적으로 대한통운이 CJ그룹으로 인수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CJ의 최근 주가급락은 새로운 수익모델 가치가 재발견되기 전 저가 매수의 기회를 줄 것으로 판단했다. 대한통운 M&A 참여 가능성 부각으로 인한 CJ의 주가 급락은 새로운 수익모델의 가치가 재발견되기 전 CJ투자자에게 저가 매수의 기회를 줄 것이라는 설명이다.


전 연구원은 " 컨텐츠 미디어에 대한 대안투자로서 CJ의 투자 매력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며 "합병 CJ E&M의 공식출범 후 스마트폰, 태플릿 PC, 스마트 TV에 컨텐츠 판매를 통한 수익이 2011년 하반기에는 본격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임철영 기자 cyl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