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20년까지 1급 발암물질 배출량 32% 줄인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오는 2020년까지 정부가 7179억원을 투입해 카드뮴 등 1급 발암물질 배출량을 32% 감축한다.


환경부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지식경제부, 고용노동부, 국토해양부 등 8개 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가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17일 밝혔다.

2006년에 도입된 UN의 화확물질관리전략(SAICM)을 적극 이행하면서 국제 표준에 맞게 유해물질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관계부처 공동으로 '국가화학물질관리 기본계획'을 마련하게 됐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이 계획은 화학물질 정보 확보와 전 과정 위해관리, 안전관리 강화, 국제적 관리대상 물질 중점관리, 시민참여와 파트너십 강화 등 5대 과제로 나눠 추진되며, 7179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계획안에 따르면 2020년까지 벤젠, 카드뮴, 비소 등 10종에 달하는 1급 발암물질의 배출량을 줄여나가 2010년 배출량인 586t보다 186t(32%) 감소한 400t까지 낮추기로 했다.


또 유통되는 화학물질 4만3000종 가운데 확보된 유해정보 비율을 현재 15%(6450여종)에서 80%(3만4000여종)로 늘릴 예정이다.


화학물질 정보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서는 유해성 심사항목을 확대(9개→13개)하고 화학물질 우수실험실(GLP)을 늘려나가기로 했다.


어린이용품의 환경유해인자와 위해성을 평가해 사용을 제한하는 지침을 만들고, 제품 생산 등 특정용도로 이용할 수 없는 취급제한물질 수도 확대한다.


국제적 관리대상 화학물질인 수은, 납 등의 노출·사용실태 조사와 나노물질의 위해성·생태독성 평가 등 유해 화학물질의 안전 관리를 강화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수립한 기본계획은 현재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녹색성장 정책과 발맞춘 선진국 수준의 화학물질관리 정책으로 화학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승미 기자 askm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