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책반장' 김석동, 저축銀 부실에 칼 뽑았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금융지주회사들 너도나도 인수 의지 밝혀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금융지주회사들이 약속이나 한 듯 저축은행 인수 의지를 밝히고 나섰다. 금융권에서는 금융지주회사들의 이런 행보가 김석동 신임 금융위원장의 취임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 3일 취임사에서 "금융위의 존재감만으로도 시장의 질서와 기강이 설 수 있도록 하겠다"며 "부실 우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신속하게 정리해 불필요한 위기 확산 우려를 방지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금융권에서 '대책반장'으로 통하는 김 위원장이 PF 대출 부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축은행 업계에 본격적으로 칼을 댄 셈이다.


지난 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범금융기관 신년 인사회에서는 저축은행 부실 문제에 대해 "나름대로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있고 기본 방향은 이미 결심이 서 있다"고 밝혔다.

저축은행의 경우 대주주의 도덕적 해이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경영 위험이 적은 은행들이 인수하는 게 해법이 될 수 있다는 판단으로 풀이된다.


실제 이날 우리금융지주 등 금융지주회사들이 저축은행 인수 의사를 밝힌 데 대해 김 위원장은 "전적으로 환영한다"며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취임 후 주요 금융권 인사들과 만나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금융지주회사들이 저축은행 인수에 나선 배경에 금융당국과의 사전 교감이 깔려 있음을 시사한 발언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지주회사의 저축은행 인수는 대주주 안정성 차원에서바람직하다"며 "위원장이 생각한 저축은행 문제 해결 방안 중 하나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제는 인수한 다음이다. 그간 대부분 시중은행들은 저축은행 인수에 부정적이었다. 은행이 저축은행을 통해 고금리 대출 영업을 한다는 평판리스크와 저축은행의 부실을 떠안기가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부실이 심각한 대형 저축은행을 인수할 경우 오히려 손실을 보게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공적자금 투입 등 정부의 손실 보전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박민규 기자 yushi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민규 기자 yushin@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