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돈풀기 vs.돈죄기 충돌...'통화전쟁' 포성 높아진다

시계아이콘01분 5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돈풀기 vs.돈죄기 충돌...'통화전쟁' 포성 높아진다
AD


[아시아경제 안혜신 기자] 지난해 세계 경제는 '넘쳐나는 돈'으로 환호와 분노가 교차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선진국은 경기침체가 장기화되자 경기 부양을 목표로 돈을 풀어내는 양적완화에 나섰다. 시중에 풀린 넘쳐나는 유동성은 신흥국으로 향했고 이는 원자재 가격 랠리와 신흥국의 물가 급등 등의 사태를 야기했다.

올 한해 역시 선진국의 부진한 경기회복으로 인해 추가 양적완화 시행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한 부작용으로 인플레이션 압박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신흥국은 유입되는 '핫머니' 차단을 위한 규제의 날을 더욱 세울 전망이다.


◆ 선진국 '돈 풀기' 더 가동할까 = 가장 주목되는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은 1차 1조7000억달러, 2차 6000억달러에 이르는 천문학적인 유동성을 풀어냈다. 그러나 미국 경제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업률은 10%에 육박한 수준에서 요지부동이다.

따라서 실업률은 3차 양적완화(QE3) 시행 가능성을 좌지우지하는 핵심 변수가 되고 있다. 실업률이 낮아지지 않을 경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QE3 시행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진다. 지난해 12월 미국의 실업률은 9.8%였다.


이선 해리스 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2차 양적완화(QE2)를 전반기 완료한 뒤 QE3를 시행할 가능성이 예상보다 높다"면서 "이는 특히 실업률에 달려있다"고 주장했다.


QE3 실행의 열쇠를 쥐고 있는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은 "지난해 12월에도 필요시 경기부양을 위해 추가적인 국채 매입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유럽의 추가 양적완화 정책은 재정위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서 그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오는 2013년까지 운용되는 유럽재정안정기금(EFSF) 증액을 비롯한 유로본드(범유럽채권) 발행 등 갖가지 방안이 강구됐을 정도로 유로존의 상황은 좋지 않다.


물론 미국과 유럽이 추가 양적완화에 나서기까지는 장애물이 많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이끄는 집권 민주당은 지난해 11월 치뤄진 중간선거에서 대패, 연준에 힘을 실어주는데 실패했다.


게다가 올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는 대표적인 매파인 리차드 피셔 댈러스 연은 총재, 찰스 플로서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 나라야나 코컬라코타 미네아폴리스 연은 총재 등 3명이 투표권을 갖는다. 지난해 토마스 호니그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홀로 양적완화 반대라는 '외로운 투쟁'을 벌였던 것과 비교된다. 또 지난해 말부터 살아나기 시작한 내수관련 경제지표도 양적완화 시행의 정당성을 약화시킬 전망이다.


유럽 역시 최대경제국인 독일이 긴축정책을 주장하면서 재정불량국을 위한 더 이상의 '퍼주기'를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어 추가 양적완화에 나서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하이퍼인플레이션 도래할까 = 양적완화에 필연적으로 동반되는 부작용, 인플레이션 역시 올해 주시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시중에 풀린 유동성은 신흥국 및 원자재 시장을 거쳐 결국 글로벌 인플레이션으로 부메랑이 돼 선진국으로 향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이 양적완화를 시행, 달러화가 약세를 보일 경우 이로 인해 주요 국제 원자재 가격은 추가적인 강세를 보일 공산이 크다.


지난해 말 국제유가는 배럴당 91달러를 넘어섰다. 대표적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인 금값은 이러한 양적완화 시행 전망에 힘입어 올해도 변함없는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바클레이스캐피탈은 금값이 조정 국면을 거친 뒤 온스당 1480달러 이상까지 오를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러한 국제 상품값 '널뛰기'는 결국 이를 야기한 미국 등 선진국에 고스란히 타격을 입힐 수밖에 없다. 미국 인플레이션협회(NIA)는 미국이 유가 급등으로 인한 하이퍼 인플레이션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이지만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을 것이라는 경고를 내놓기도 했다.


◆ 신흥국은 '돈죄기' = 선진국의 추가 양적완화 시행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 상황에서 신흥국 역시 급속한 유동성 유입을 막기 위해 올해에도 다양한 자본규제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해 선물환 포지션 규제와 외국인 채권투자 과세를 통해 자본 유출입 규제를 시작했으며 브라질은 외국인 브라질 채권투자에 대한 금융거래세(IOF)를 인상했고 태국 역시 자본통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미 인플레이션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중국은 지난해 두 차례의 금리인상에 이어 올해도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확률이 높다. 특히 살인적인 물가를 잡기 위해 중국 정부는 상반기 안에만 지급준비율·금리인상, 위안화 절상 등의 조치를 쏟아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안혜신 기자 ahnhye8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