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증시전망]中금리인상의 두얼굴

시계아이콘01분 2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전필수 기자]중국이 크리스마스 날 전격적으로 기준금리를 25bp 인상했다. 이에 따라 대출금리는 5.81%, 정기예금금리는 2.75%로 올랐다. 지난 10월19일에 이어 올해만 두번째 인상이다.


지난 10월 중국의 금리인상은 3년만에 이뤄진 일이었다. 3년만에 이뤄졌던 금리인상을 불과 두달여만에 다시 단행했다는 것은 그만큼 물가상승 압박이 심하다는 얘기다. 지난달 중국의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5.1%나 급등했다.

이같은 추세는 내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중국의 임금은 지난 10년동안 매년 16.4%씩 상승했다. 근로자들의 소득 증가는 자연스레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 미국, 1990년대 한국이 그랬다. 중국의 긴축정책이 내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중국의 예기치 않은 크리스마스 선물(?)을 바라보는 전문가들의 견해는 비슷하면서도 미묘한 차이가 있다. 중국 경기에 대한 의존도가 큰 우리 경제 구조상 중국의 긴축이 분명 달가운 일은 아니다. 단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없을 수는 없다.

대신증권은 "이번 금리 인상은 지난 10월19일 있었던 1차 금리인상 때보다 실물경기에 대한 배려가 약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며 "금리인상의 부정적 영향이 1차 때보다 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중국이 지준율 인상이 아닌 금리 인상을 전격적으로 단행한 것은 '물가 상승에 대한 경고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해석했다. 오승훈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현재 중국 긴축의 성격은 경기과열보다 과잉유동성의 부작용을 막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며 "과잉유동성 흡수가 목적이라면 금리 인상보다는 지준율 인상이 더 적극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인상한 것은 연초 대출 억제, 물가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를 꺽기 위한 경고"라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중국 금리인상에서 '물가' 부분에 특히 주목했다. 물가 상승압력으로 유동성을 통제하려고 애쓰고 있는 중국, 인도, 브라질 등의 증시가 최근 글로벌 증시 대비 부진한 반면 물가상승 우려가 없는 일본 증시는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현재 우리나라도 물가상승 우려에서 자유롭지 않은 상황이다.


그럼에도 중국금리 인상이 이미 예정된 시나리오란 점에서 큰 충격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내년 초에 기준금리가 인상될 것이라는 예상보다 실제 인상 시기가 다소 앞당겨진 점에서 다소 간의 지수 조정이 예상된다고 했다. 연말을 앞두고 미국 증시의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호재와 악재에 둔감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국내외 증시 상황도 급격한 조정 가능성을 낮추는 요인이다.


중국 금리인상이 오히려 신흥시장 강세를 부채질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토러스투자증권은 신흥국의 금리인상은 '선진국 통화 약세 vs 신흥국 통화 강세' 흐름을 강화시켜 신흥국쪽으로 자금유입을 더욱 촉진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차이가 있었지만 중국의 긴축기조가 내년에도 이어질 것이란데는 크게 이견이 없다. 이에 따라 중국주 중 투자관련 종목들은 부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대신 내수 소비주들은 여전히 관심 대상이다. 금리를 올려도 10년간 4배 이상 오른 급여를 바탕으로 한 중국 근로자들의 소비를 억제하는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전필수 기자 philsu@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