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통로 52곳 중 절반 가까이 관리 부실, 동물이 발견되지 않는 곳도 22곳
[아시아경제 김정수 기자] 경기도내 야생동물들의 이동통로인 생태통로가 전혀 관리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내에는 도로건설공사, 택지개발 등으로 단절된 야생동물들의 이동통로를 다시 확보해주기 위해 만든 생태통로는 경기도내 52개소에 달한다. 이중 육교형 34개, 터널형 18개 등이며, 터널형은 다시 양서파충류형과 포유류형으로 나뉜다.
생태통로 설치기관은 국토부가 14개로 가장 많고 경기도가 9개이며, 나머지는 LH 및 각 시군이 각각 설치하고 있다. 생태통로 관리는 각 시군에서 담당하고 있다.
생태통로를 만들 때는 야생동물들을 생태통로로 유도하는 유도펜스를 설치하고 생태통로표지판 등을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이들 생태통로 중 절반 이상은 유도펜스 미설치와 우기철 토사가 흘러내려 퇴적되면서 생태통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생태통로를 등산로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52개 가운데 22곳은 생태통로의 목적에 맞는 동물들이 발견되고 있지 않으며, 생태통로임을 알 수 있는 생태통로표지판이 설치된 곳도 고작 8개만 설치돼 있었다.
야생동물의 출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CCTV 설치는 2곳만 설치돼 있는 등 전반적으로 생태통로가 관리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고양시 행신동의 서정마을을 조성하면서 만든 생태통로 2곳과 성남시 도촌동의 생태통로는 이미 생태계가 파편화된 지역에 설치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고양시 행신동의 생태통로는 애초에 필요 없는 곳에 설치돼 예산낭비라는 지적까지 일고 있다. 아파트를 지으면서 생태계가 파편화된 상태에서 생태통로를 개설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생태통로 한 방향은 아파트단지인 반면 반대편 방향은 사유지라는 이유로 철조망으로 막혀있어서 전혀 생태통로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생태통로의 절반 이상이 제대로 관리가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재연 경기도의원(진보신당, 고양1)은 “생태통로임을 알 수 있는 생태통로표지판과 야생동물출현 표지판을 설치하고, 등산로로 이용되는 곳은 등산객과 분리할 수 있도록 펜스를 설치해야 한다”며 “이미 생태통로로서 역할을 상실한 곳은 추가조사를 통해서 보존방안을 강구하고, 생태통로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정수 기자 kjs@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