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8.8개각]김태호내각 2題는?..'세대교체'와 '친정체제'

4대강 등 국정현안 강력추진 의지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이명박 대통령의 8.8 개각의 특징은 '젊은 내각'과 '친정체제 강화'로 요약된다.


이를 통해 집권후반기를 맞는 이 대통령이 세대·지역·계층간 소통을 강화하는 동시에 4대강 사업 등 주요 국정과제를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분석된다.

◆젊어진 내각 '소통 넓힌다'


이번 개각으로 총리에 40대의 김태호 전 경남지사(48)가 발탁된 것을 비롯해 40대 후반에서 50대 초중반의 비교적 젊은 인사들이 국무위원으로 대거 기용됐다. 이주호 교육과학장관 후보자(49)이 40대이며 신재민 문화체육관광(52), 유정복 농림수산(53), 이재훈 지식경제(55), 박재완 고용노동(55), 진수희 보건복지(55) 장관 후보자는 50대 초중반이다.

4선 의원 출신인 이재오 특임장관 후보자(65)만 유일하게 60대다. 이들 신임 총리후보자와 국무위원 후보자의 평균연령은 54세다. 국무위원은 아니지만 이번 개각에서 장관급으로 내정된 임채민 총리실장(52)과 정종수 중앙노동위원장(57) 내정자도 50대다.


이번에 유임된 장관 가운데 윤증현 기획재정(64), 맹형규 행정안전(64), 이만의 환경(64), 유명환 외교(64), 정종환 국토해양(62), 김태영 국방(61), 백희영(60) 여성가족 장관이 60대이고 이귀남 법무(59)와 현인택 통일(56) 장관이 50대 중후반인 것과 대조적이다.


기존 국무위원 평균연령은 60.4세였으나, 앞으로 구성되는 3기 국무위원 평균연령은 58세가 된다.


이번 개각은 지역과 출신학교 안배에도 신경을 상당히 썼다. 말 많았던 대구경북(TK)과 고려대 출신 인사의 기용을 최대한 배제하고, 다른 지역·학교 출신 인사를 골고루 배분했다. 총리를 포함해 장관급 이상 10명 가운데 TK 출신은 이재오 특임장관 후보자(경북 영양)와 이주호 교육과학장관 후보자(대구) 2명뿐이다.


충청 출신은 진수희 보건복지장관 후보자(대전)와 신재민 문화체육관광 후보자(충남 서천), 정종수 중앙노동위원장 내정자(충북 옥천) 3명이며 경남 출신도 김태호 총리후보자(경남 거창), 박재완 고용노동장관 후보자(경남 마산) 2명이다. 이재훈 지식경제장관 후보자는 광주, 유정복 농림수산장관 후보자는 인천, 임채민 총리실장 내정자는 서울 출신이다.


이들의 출신학교는 서울대 출신이 6명으로 가장 많았고, 연세대 2명, 중앙대 1명, 충남대 1명이었다. 고려대 출신은 1명도 없었다. 이에 따라 3기 국무위원 16명 가운데 서울대 출신은 7명, 연세대 3명, 고려대 3명, 중앙대 1명, 조선대 1명, 육사 1명, 미국 미시시피여대 1명 등이 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젊은 내각을 구성해 세대간 소통을 넓히는 한편 지역·학교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고 설명했다.


◆집권후반기에도 '흔들림없이'


이 대통령이 이번 개각에서 '왕의 남자'로 불리는 이재오 의원을 비롯해 진수희, 박재완, 신재민, 이주호 등 최측근 인사들을 국무위원에 전면배치한 것은 집권후반기에 정부 장악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4대강 사업을 관장하는 정종환 국토해양부장관과 이만의 환경부장관이 유임됐고, 인수위 출신인 현인택 통일부장관과 맹형규 행정안전부장관도 자리를 지켰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임기 마지막날까지 책임있게 국정을 수행하겠다고 여러차례 밝혀왔다"며 "집권후반기에도 한치의 흔들림없이 주요 국정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믿고 맡길 수 있는 친정체제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전했다.


일부 교체가 예상됐던 외교안보라인의 유임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유명환 외교통상부장관은 G20 정상회의 준비를 위해 유임이 예상돼왔으나, 현 통일부장관, 김태영 국방부장관은 천안함 사태 등으로 교체 가능성이 제기됐었다. 이 대통령은 천안함 사태가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으며, 안보관계장관에 대한 신뢰를 통해 군의 사기를 높여주겠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지사 출신인 김태호 총리후보가 4대강 사업을 반대하고 있는 김두관 경남지사와 지역민들을 어떻게 설득할지도 관심을 끈다. 김 총리후보가 적극적으로 경남지역 여론 설득에 나설 경우 4대강 사업을 추진하는데 적지않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번 개각은 세대교체를 통해 소통을 넓혀가면서 남아있는 국정과제를 마무리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면서 "기본적인 국정운영의 방향은 기존의 친서민 중도실용의 연장선"이라고 밝혔다.


조영주 기자 yjch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