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안철수硏, 신개념 웹 보안관제 서비스 출시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안철수연구소(대표 김홍선)는 국내 최초 웹사이트 위협 모니터링 서비스인 '사이트케어'를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사이트케어'는 기업 및 기관 웹사이트의 해킹, 악성코드 유포, 개인정보 노출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빠르게 조치하도록 경고해주는 서비스다.

안철수연구소는 '사이트케어'의 출시로 기업·기관에서 자사 웹사이트 및 사용자의 안전을 24시간 관리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해킹 대응, 민원 대응 비용을 최소화하고 대외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국가적 문제인 좀비PC 확산 방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사이트케어'는 안철수연구소가 자체 개발한 웹 콘텐츠 진단 엔진인 '안티 멀사이트 엔진'과 10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한 위험 사이트 차단 서비스 '사이트가드'를 기반으로 다양하고 지능적인 공격을 신속히 진단한다.


웹 방화벽을 우회하는 공격, 동적인 스크립트를 통한 공격 등을 빠르게 진단하며, 주민번호 등 웹을 통해 노출되는 개인정보를 탐지해 신속한 조치를 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안철수연구소 관계자는 "'사이트케어'는 웹 방화벽이 탐지할 수 없는 난독화 스크립트를 비롯해 제휴 사이트 및 광고와 연계된 콘텐츠의 위협까지 분석·진단한다"며 "웹 방화벽과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안철수연구소는 '사이트케어' 출시에 이어 자체 관제센터를 구축한 대형 고객을 위한 서버 제품인 '사이트케어 엔터프라이즈'와 중소기업 대상 서비스인 '사이트케어 라이브'를 차례로 출시할 예정이다.


한편 안철수연구소가 집계한 바에 따르면 지난 2008년 8월부터 올 상반기까지 국내 웹사이트 상위 300개 중 46%에 해당하는 138개 웹사이트가 악성코드를 유포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올해 상반기 위험 요소가 발견된 URL 건수는 2만8215건이며 악성 URL에 접속한 사용자 수는 261만1383명에 달한다.


안철수연구소 김홍선 대표는 "연초에 제품의 서비스화에 주력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는데 사이트케어는 트러스가드 DPX에 이어 보안관제 서비스와 결합한 두 번째 사례"라며 "앞으로도 지능적 보안 위협에 입체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인 해법을 제시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철현 기자 kch@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