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여의도 정치권에서 정계개편의 가능성이 수면 아래에서 꿈틀거리고 있다. 여야 모두 불투명한 차기 대선 전망 때문에 주판알 튕기기가 한창이다. 우선 한나라당을 중심으로 하는 보수대연합론은 이미 공론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진보연합론은 아직 본격 논의는 없지만 불씨는 여전히 살아있다. 아울러 하반기 개헌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치권 제정파간 합종연횡과 짝짓기는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 희망연대와 합당...남은 것은 자유선진당
보수대연합론은 현 여권의 위기감에서 출발했다. 6.2지방선거의 성적표를 감안할 때 연대없이 보수세력의 재집권은 불투명하다. 진보진영이 단결한 상황에서 보수적 가치를 명분으로 정당과 시민사회 등이 연대해야 한다는 명분이다.
포문을 연 것은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였다. 이 대표는 지난달 7일 지방선거 참패 이후 한 라디오방송에 출연, "이번 선거 결과를 보고 일종의 전율을 느꼈다. 2002년의 판박이다. 보수 세력은 지금 이해타산을 따질 때가 아니라 대연합의 가능성도 생각해 봐야 한다"며 사실상 한나라당과의 연합 가능성을 내비쳤다. 안상수 신임 한나라당 대표 역시 의욕을 보이고 있다. 안 대표는 "우리 사회의 중도세력과 합리적 보수세력이 통합을 이뤄야 한다"면서 "비단 자유선진당뿐 아니라 모든 중도와 보수 세력이 다 통합을 이뤄 다음 정권 창출의 주체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권 인적쇄신 과정에서 충청 출신 인사들의 약진 등 묘한 분위기도 감진된다. 자민련과 국민중심당을 거친 충남 출신의 정진석 한나라당 의원이 청와대 정무수석에 기용된 것이 상징적이다. 백용호 정책실장과 홍상표 홍보수석 역시 충청 출신이다. 또한 개각과 관련, 심대평 국민중심연합 대표의 총리설의 불씨도 여전히 살아있다.
한나라당 입장에서 보수대연합은 매우 매력적인 카드다. 지난 14일 전대에서 미래희망연대(옛 친박연대)와의 합당으로 의석수를 168석에서 176석으로 늘렸다. 만약 자유선진당과의 통합이 성사될 경우 의석수는 192석으로 늘어난다. 여기에 무소속 의원들을 포함하면 단독 개헌 가능성인 200석에 육박하는 무소불위의 제1당이 되면서 향후 개헌정국에서 야권을 압박하며 주도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 특히 독자집권이 불가능한 선진당이 내각책임제를 강력히 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개헌과 권력구조 개편을 매개로 한 보수진영의 연대 논의는 더욱 급물살을 탈 수 있다.
다만 한나라당 내부의 친이, 친박 계파갈등이 여전한데다 세종시 문제에 대한 극심한 이견을 감안할 때 이에 대한 조정이 우선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野, 정권탈환 위해 김대중-노무현 지지층 결집 필요
야권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다. 6.2지방선거에서 반(反)이명박 심판을 명분으로 연대를 성사시켜 정치적 승리를 거둔 만큼 차기 총선과 대선에서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 민주당으로서는 야권 통합이나 연대없이는 차기 대선에서 정권탈환이 불가능하다.
핵심은 과거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탄생을 도운 전통적 지지층의 재결집이다. 걸림돌은 과거 분당과 창당 과정을 거치며 생겨난 감정의 골이 여전히 깊다는 점이다. 민주당을 모태로 한 전통적 지지층은 현재 ▲민주당 ▲ 국민참여당 ▲ 창조한국당 ▲ 평화민주당으로 사분오열돼있다. 아울러 전략적 연대 대상으로 거론되는 진보정당도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으로 분화돼 있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조사분석실장은 "보수대연합은 분열로 망한다던 진보진영의 연합전선에 대한 위기감 때문"이라면서 "선진당 역시 자력으로 총선이나 대선이 쉽지 않은 만큼 구호로만 보기에는 힘들다"고 말했다. 이어 "민주당 등 진보진영은 추구하는 방향이 달라 합당 등 높은 수준의 통합은 힘들겠지만 사안별로 연대를 추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김성곤 기자 skzer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