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특허청, 현장 밀착형 특허전략 지원

8일 한국과학기술회관서 ‘연구실특허전략지원사업’ 출범식…대학·공공연구원 연구실 대상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특허청이 대학·공공연구원 연구실 등 현장밀착형 특허전략지원에 나선다.


특허청은 이를 위해 8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연구실특허전략지원사업’ 출범식을 갖는다고 7일 밝혔다.

출범식엔 ▲서울대, KAIST 등 국가R&D(연구개발) 수행 연구실 연구자 ▲산학협력단 ▲특허전략전문가 ▲특허정보분석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한다.


◆몇 곳에 어떤 것을 지원하나=특허청은 올해 중 R&D과제를 처리하는 대학, 공공연구원의 35개 연구실을 뽑아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지난 2월 15개 연구실을 1차 선정한데 이어 2차로 20개 연구실을 뽑기 위해 신청 받고 있다.


선정된 연구실엔 R&D특허센터(소장 박종효)의 특허전략전문가와 특허정보분석기관이 지원팀을 이뤄 신규특허창출, R&D 방향제시 등 IP(지식재산권) 중심의 R&D연계전략을 통한 특허포트폴리오 짜기를 돕는다.


이날 출범식에선 ‘연구실특허전략지원사업’의 ‘2009년 우수사례 및 2010년 연구실별 IP 추진전략’을 주고받을 예정이다.


김영민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R&D의 기초단위인 연구실에 IP중심의 R&D연계전략 을 도와 연구원들의 IP인식을 높이고 전략적으로 IP창출·관리·활용을 이끄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허청은 이 사업을 통해 대학·공공연 연구실의 R&D와 특허현황을 분석, 출원특허를 보강하고 새 특허를 만들기 위한 IP-R&D 연계전략수립을 지원한다.


또 R&D성과를 잘 활용하는 기술이전전략까지 마련, 우수특허의 경제적 파급효과도 높이는데 이바지한다.


◆지원 성과와 반응=특허청이 2007년부터 시작한 ‘연구실특허전략지원사업’은 지금까지 130개 연구실을 지원했다.


지난해도 50개 대학·공공연구원 연구실 지원을 통해 새 IP획득전략(46건), 문제특허 대응전략(11건), R&D 방향제시(38건) 등의 성과를 올렸다.


또 해당연구실의 특허생산성을 높이면서 기술이전 등 성과확산에도 크게 보탬이 돼 국가R&D사업단으로부터 호응을 얻었다.


지난해 지원을 받은 성균관대 정보통신공학부 전병우 교수는 “연구실특허전략지원사업을 통해 연구원들의 특허마인드가 높아졌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체계적 특허교육으로 특허출원 때 경쟁기술 파악능력이 높아져 연구결과를 특허화 하는데 큰 도움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