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대重, 세계 최단기 중형엔진 2000만마력 달성

19년7개월만의 대기록, 독일 만 등은 50년 넘게 걸려
중형엔진 年 1800대 생산 능력 보유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현대중공업이 세계 최단기간 중형엔진 생산 누계 2000만마력을 달성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독일 리크머스(Rickmers)의 1만3100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 컨테이너선에 탑재될 4078마력급 선박 보조엔진(6H32/40) 3대의 시운전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이로써 현대중공업은 중형엔진 생산 19년 7개월만에 누적 2000만 마력을 돌파했다.

중형엔진은 통상 600마력부터 1만3000마력까지의 4행정식(4스트로크) 엔진을 지칭하는데, 현대중공업은 지난 1990년 8월 중형엔진 10대를 생산하며 이 분야에 처음 진출했다.


이후 엔진 생산시설 확충 및 기술력 향상을 통해 지난 2007년까지 생산 누계 5000대, 1000만마력을 달성했으며, 3년 만에 4000대를 추가로 생산하며 총 9089대, 생산누계 2000만 마력을 돌파했다.


독일 만(MAN) 디젤 등 100여 년 역사를 가진 유럽의 엔진메이커들도 중형엔진 2000만마력을 생산하는데 50년 이상 걸린 점에 비하면 절반도 안되는 기간에 이룩한 성과다.


현대중공업은 연간 중형엔진 1800대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지난 2009년에는 전 세계에서 생산된 선박 및 발전기에서 사용되는 중형엔진의 약 25%를 공급했다.


특히 현대중공업의 중형엔진중 지난 2000년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한 ‘힘센(HiMSEN)엔진’은 지난 2004년 지식경제부로부터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되는 등 엔진 분야에서만 대형엔진, 대형엔진용 크랑크 샤프트, 중형엔진, 중형엔진용 크랑크 샤프트 등 14개 제품에 달하는 세계일류상품을 보유해 국내 최다 기록을 갖고 있다.


또한 이라크, 쿠바 등 전력 상황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 이동식 발전설비(PPS) 등 육상발전용 엔진으로도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지난 1988년부터 줄곧 선박용 엔진시장에서 세계시장 35%의 점유율로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대형엔진 분야에서 9000만마력을 달성했으며, 올 하반기 세계에서 유일하게 1억만 마력 생산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