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충남·대전지역 택지개발 ‘차질’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업 재검토, 부동산경기 침체 등으로 거의 손 놓아

[아시아경제 최장준 기자] 대전·충남지역의 택지개발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지난해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출범함에 따라 개발사업들을 재검토하고 있는데다 이어지는 부동산경기침체로 미분양이 우려돼 미뤄지는 까닭이다.

5일 충남도에 따르면 보령시 명천지구 택지개발사업은 1997년 83만9000㎡ 터에 대한 개발계획이 마련됐고 지난해 11월 일부 내용이 바뀌어 승인됐다.


그러나 사업을 벌이기 위한 실시설계가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시행사였던 한국토지공사가 지난해 대한주택공사와 합쳐지면서 사업건전성 검토에 들어가 명천지구사업은 사실상 멈춘 상태다.

부동산경기가 살아나지 않으면서 분양이 안 될 경우 자금회수가 힘들 것이란 우려에서다.

서산시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2007년 석림2지구 개발계획을 마련, 충남도와 함께 지난해 12월 실시설계안을 토지주택공사에 통보했으나 뒷전으로 밀려 사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2008년 세계금융위기로 경제침체가 이어지면서 택지개발사업 대부분이 멈췄다”면서 “특히 토공, 주공이 한국토지주택공사로 합쳐지면서 새 사업에 대한 전면재검토로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더구나 불황으로 택지개발 뒤 분양이 안 되면 해당기업이 크게 피해볼 수 있어 사업을 섣불리 펼치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충남지역의 다른 시·군들도 새 택지개발을 고려하지만 시행사를 찾지 못해 그만두는 사례들이 생기고 있다.


또 다른 충남도 관계자는 “시·군에서 택지개발을 위한 문의가 이어지지만 사업계획을 짜는 곳은 없다”고 말했다. 수도권 등지에서 미분양이 잇따르고 지역경제가 풀리지 않아 사업에 나설 기업을 찾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분위기는 대전지역에서도 생기고 있다. 대전 서남부 2단계 택지개발사업이 기한 없이 미뤄지고 있다.


서남부 2단계사업은 내년부터 383만9777㎡ 터에 주택용 땅, 상업용 땅, 공원녹지 등으로 개발될 예정이었으나 진전이 없다.

1단계사업이 부동산경기침체로 미분양주택을 팔지 못한데다 토지주택공사 등 시행사에서도 자금문제를 들어 사업을 검토하지 않고 있어서다.


대전지역의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부동산경기가 살아나고 인구가 늘지 않는 이상 지역의 택지개발사업은 제대로 이뤄지기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최장준 기자 thispr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