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거래소 실질심사 도입 1년, "이렇게 힘들 줄은 몰랐죠"

실질심사 담당 서종남 거래소 공시제도총괄팀장

[아시아경제 이솔 기자]"제도 시행 초기에는 위협적인 일들도 많았습니다. 여러 형태로 로비가 들어올 뿐 아니라 회사 앞에서 기다리다가 혹은 사무실까지 쫓아 들어와 강하게 항의하는 일도 많았죠. 이렇게 힘들 줄 알았으면 시작을 안했을 겁니다(웃음)."
 
코스닥 시장의 한계ㆍ불공정 기업을 솎아내기 위해 한국거래소가 지난해 2월 시작한 '상장폐지 실질심사 제도'를 도맡아 진행해온 서종남 공시제도총괄팀장은 지난 1년간 수없는 협박전화와 항의에 시달렸다. 취지는 좋지만 투자자들이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개별적 기준이 아닌 여러 요소를 감안한 '종합적 요건'에 의해 상장폐지가 결정되기 때문에 해당 회사 투자자와 경영진의 불만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던 것.


서 팀장은 "수저로 저수지의 물을 다 퍼낼 수는 없겠지만 기본적인 물줄기만이라도 바꿔보자는 뜻에서 실질심사 제도를 시작했다"며 "여러 형태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확실하게 밀고 나가려고 노력해왔다"고 전했다.

그는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케이스마다 법률적ㆍ현실적으로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 지였다"며 "기업의 전체적 상황을 보고 판단해야 하는 제도라서 잘못했을 경우 '자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고충을 토로했다. 형식적인 퇴출 심사제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실질심사제도는 기업들이 상장폐지를 피해가기 위해 실적을 부풀리거나 회계처리를 위반하는 등의 행위를 적발해낸다. 의심되는 행위가 적발되면 바로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 여부 심사에 들어가 매매거래가 정지된다. 심사 대상으로 결정돼 또 한 번의 위원회를 거치면 상장폐지되거나 1년의 개선기간이 부여된다. 지난 1년간 17개 회사가 실질심사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서 퇴출됐다.


실질심사제도 정착을 위해 사명감을 갖고 꿋꿋하게 걸어왔지만 투자한 기업의 주식이 휴지조각이 돼 버린 개인투자자들에 대해서는 안타까움이 컸다.

서 팀장은 "시집갈 돈 투자했다 다 날렸다는 아가씨, 자살 충동을 느낀다는 대학생 등 가슴 아픈 사연들도 많이 들었다"며 "그럴 때마다 이 제도를 조금 더 일찍 시작했으면 피해를 보는 투자자들이 줄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상장폐지라는 가장 강한 수준의 제재를 할 수밖에 없다는 것.


그는 "더 좋은 기업이 들어와서 주가를 높여야 코스닥 시장의 품격이 올라가고 투자자 의식도 바뀐다"며 "기업공개(IPO) 심사처럼 기업 퇴출 심사도 꼼꼼하게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부실기업을 더욱 정교하게 가려내 투자자들에게 사전에 알릴 수 있게 하는 방안도 고민 중이다.


서 팀장은 "횡령ㆍ배임 같은 사안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회사들 중에서도 부실기업은 많다"며 "상장에 적합하지 않은 회사들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투자자들이 투자에 앞서 알 수 있도록 '경고'를 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이솔 기자 pinetree19@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