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년연설]새해에도 '경제 살리기'·'일자리 창출' 총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李대통령 "하반기엔 경제회복 온기 체감할 수 있게.. '비상경제체제' 상반기 종료"

[아시아경제 장용석 기자] "상반기엔 비상경제체제를 끝내고, 하반기엔 서민들도 경제 회복의 온기를 체감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경인년(庚寅年) 새해에도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경기회복에 대한 잇단 '청신호'에도 불구하고 고용 시장을 중심으로 한 서민들의 체감경기는 좀처럼 나아지고 있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4일 신년 국정연설에서 "2010년 정부의 첫 번째 국정과제는 누가 뭐라 해도 경제를 살리는 것이다. 그리고 그 핵심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더 많은 일자리, 더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올해 정부는 '일자리 정부'로 자리매김하겠다"며 "'고용 없는 성장'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정부와 기업, 국민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기획재정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20만명의 취업자 수 증가를 기대하고 있으나, 대표적인 고용 비수기인 1~2월엔 '희망근로 프로젝트' 등 정부 지원 일자리가 잠정 중단되는데다, 민간 부문의 채용마저 거의 없어 지난해에 버금가는 '고용 한파'가 우려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매월 이 대통령 주재의 '국가고용전략회의'를 개최하는 등 "경기회복이 일자리 창출로 선순환될 수 있도록" 고용 분야 정책 발굴과 점검에 적극 나설 방침이다. 제1차 '국가고용전략회의'는 오는 7일 열린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실직자 또는 취업 준비자들의 구직난과 중소기업 등의 구인난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점을 들어 "노동력 수요ㆍ공급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통합정보망을 구축하고 직업훈련체제를 혁신하겠다"고도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와 함께 ▲임금 피크의 확산과 ▲재택근무, 1인 기업, 사회적 기업, 유급 근로와 자원 봉사의 결합 등 새로운 일자리 형태의 발굴을 통해 "주부와 노인들도 일자리를 얻을 수 있는 길을 넓히고, 일자리가 경제 뿐만 아니라 자아실현을 위한 수단이 되게 해야 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밖에 이 대통령은 지역 경제발전을 위해 "올해 '5+2 광역발전 모델'의 가시적 성과를 이뤄 지방에서도 경제회복이 피부로 느껴지도록 하겠다"면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지역 일자리 및 소득창출의 획기적 전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오는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관련, "세계가 균형 있게 발전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도록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