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장용석 기자] 지난 2007년 12월 사상 최악의 기름유출사고를 겪었던 태안 해안국립공원 지역의 해양수질과 어종이 사고 이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이 30일 발표한 ‘태안 국립공원지역 생태계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 지역의 해양수질 중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pH) 등의 일반항목과 영양염류는 이전 5년간의 자료와 차이가 없고, 유분은 해역수질환경기준 1등급(1㎎/ℓ)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금속도 기준보다 ‘매우 낮은’ 농도로 검출됐다.
지난 2005년 각각 21종과 43종이었던 학암포 및 연포의 해양어류(지인망) 종수도 사고 직후인 2008년 15종과 32종으로 크게 줄었으나, 올 들어 19종과 40종으로 다시 늘어났다.
오염된 지역이나 인공적인 간섭이 있는 지역에서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진 엽상형 해조류 가운데 구멍갈파래의 경우 지난해엔 증가했지만 올 들어선 다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동물성 플랑크톤은 감소 후 증가추세(2005년 4만8273ind/㎥→2008넌 1만9612ind/㎥→2009년 2만7759ind/㎥)에 있고, 해조류(잘피)도 지하부 생물량이 점차 늘면서 전반적으로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이밖에 해안퇴적물의 오염도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는 평균 17.12㎍/㎏(1㎍(마이크로그램은 100만분의1g)으로 사고 이전의 13.7㎍/㎏보다는 다소 높았으나, 발트해(2671㎍/㎏), 지중해 연안(1만758㎍/㎏), 미국 메인만(203㎍/㎏), 낙동강 하구(42.8㎍/㎏), 마산만(352㎍/㎏), 진해만(1500㎍/㎏) 등 국내외의 다른 지역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다만 환경부는 “태안 해안국립공원 북부해안(45㎞)과 일부도서(가의도, 장고도, 곳도, 대청도, 추도)엔 아직 미약한 잔존유징이 남아있고, 식물성 프랑크톤의 3대 우점종도 2005년 상태로 회복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내년부터 2019년까지 생태계 모니터링과 공원 내 탐방·기반시설 설치, 잔존유류 제거, 훼손지 복구사업 등에 총 173억원의 예산을 들여 태안지역과 국립공원이 제 모습을 찾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장용석 기자 ys417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