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송파구 DTI 규제에 최고 하락…잠실주공 1억2000만원 ↓

DTI규제 이후 3개월간 가장 많이 하락

[아시아경제 김정수 기자] 정부의 DTI 규제 강화 이후 3달 동안 서울 송파지역의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가운데 잠실주공5단지의 경우 3달 동안 무려 1억2000여만원이 하락했다.

정부가 DTI 규제를 지난 9월 7일 수도권으로 확대한지 석달이 지난 현재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거래시장이 위축되고 상승폭 역시 둔화됐다.


지난 9월 7일 이후 현재 지난 27일까지 약 석 달 간 서울 지역별 아파트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송파구가 가장 많이 떨어졌다.

DTI 규제 이후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의 경우에는 주택투기지역이어서 이전에도 DTI 적용을 받고 있어 영향력이 적을 것으로 전망과는 달랐다.


지난 9월 7일~11월 27일까지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 전체 0.16%(1859만원→1862만원) 올랐다.


하지만 송파구는 9월 초 3.3㎡당 2550만원에서 11월 27일 현재 3.3㎡당 2531만원으로 0.75%까지 내렸다. 서울에서 가장 많이 떨어졌다.


송파구가 DTI 규제 이전 한 달 동안(8월~9월)만 무려 2%가 오른 것에 비하면 대조적인 모습이다.


실제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5단지 112㎡는 DTI 규제 전 12억5000만~12억9000만원에서 무려 1억1500만원이 떨어져 현재 11억5000만~11억7000만원에 매물이 나와 있지만 매수자가 없다.


강동구가 3.3㎡당 2004만원에서 1995만원으로 0.45%가 하락했다. 강동구는 그동안 강남3구와는 달리 투기지역에 일찌감치 해제돼 풍선효과를 톡톡히 봤었지만 DTI 규제로 묶이면서 투자자들이 대거 빠져 나가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강동구는 DTI 규제 한 달 이전만 아파트값이 4%가 올라 가장 많이 오르기도 했었다.


강동구 고덕동 고덕주공2단지 42㎡는 DTI 규제 전 5억5000만~5억7000만원에서 2250만원이 떨어져 현재 5억2500만~5억5000만원, 둔촌동 둔촌주공1단지 52㎡는 3000만원이 떨어져 6억1000만~6억2000만원에 가격이 형성돼 있다.


도봉구는 0.26%(1157만원→1154만원) 떨어졌다. 도봉구는 북부 법조타운 조성, 재개발 등으로 작년 상반기에 이어 올 상반기에도 아파트값 상승률이 컸으나 DTI규제 이후 방학동 우성1차 109㎡는 DTI 규제 이후 1000만원이 떨어져 2억7000만~2억9000만원이다.


그리고 은평구는 -0.18%(1093만원→1091만원), 노원구 -0.08%(1280만원→1279만원) 등의 순으로 하락했다.


반면 중구와 강남구, 서초구는 DTI규제이후에도 오름세를 보였다. 중구가 4.2%(1612만원→1680만원)로 가장 많이 올랐고 강남구는 0.32%(3460만원→3471만원)가 올랐다. 서초구는 2.04%(2840만원→2898만원) 상승했다.


양지영 내집마련정보사 팀장은 “DTI 규제 이후 올 상반기 가격이 많이 올랐던 지역을 중심으로 하락세도 컸다”며 “시장에 불안심리가 여전히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당분간은 관망세가 짙어 가격 하락가 더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김정수 기자 kj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