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반투명 장관'이 되겠다는 주호영 특임장관?

[아시아경제 박현준 기자] 주호영 특임장관은 지난 20일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 '반투명 장관'이 되겠다"는 뼈있는 농담을 던졌다. 주 장관의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다며 언론에서 '투명장관'으로 묘사했기 때문이다. 그는 "특임장관이란 업무 특성상 하는 일을 다 밝힐 수 없다"면서 양해를 구하기도 했다.


주 장관이 맡고 있는 특임장관은 옛날의 '정무장관' 혹은 '무임소 장관'에 가까운 역할이다. 정부부처를 지휘하는 장관이면서도 국회와 접촉을 하면서 쟁점현안을 조율한다. 특임장관의 만남 자체만으로도 '정치적' 의미가 있기 때문에 누구를 만나는지 일일이 공개할 수 없다. 더구나 주무부처가 있는 현안의 경우, 특임장관이 나섰다간 월권으로 비칠 여지도 있다. 조심스런 처신으로 자연스럽게 '투명'해질 수밖에 없는 자리다.

따라서 정부가 추진하는 세종시 대안구상에 반발하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비롯한 친박계 의원들의 만남도 일일이 공개하지 않고, 설사 접촉이 알려져도 원론적인 내용을 전달했다고 설명하는데 그친다.


그러나 주 장관은 할 일은 하고 있다고 분명히 강조한다. 그는 세종시에 지나치게 인센티브가 집중되면서 다른 기업도시ㆍ첨단복합단지에서 공동화를 우려하고 있다는 점을 총리실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주 장관은 "세종시에 대한 지나친 인센티브는 '가치배분의 왜곡'이라는 의견을 정부에 전했다"고 했다. 특임장관을 국민과 당의 생각을 국민에게 전달하는 역할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게 주 장관의 구상으로 보인다.


소리 없이 큰 발걸음을 보이겠다는 그의 구상을 실천하려면 어려운게 사실이다. 11년 전 폐지됐다 부활한 특임장관실이기 때문에 업무영역과 관례를 주 장관 스스로 만들어 가야한다. 기자단과 만남에서 "롤모델이 없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모르겠다. 당시 인원도 없어져서 어렵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 때문에 그의 걸음 하나하나가 중요하다. 특임장관실이 존재하는 한 모두 그의 행보를 따라할 것이다. 정원 41명의 미니부처에 다들 눈을 집중하고 있는 까닭이기도 하다.

박현준 기자 hjunpark@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