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숫자로 본 주간경제] 헐값에 집 넘긴 헐리우드 스타

[아시아경제 강미현 기자]


◆1100=금값이 마침내 온스당 1100달러에 안착했다. 연일 사상최고치를 경신하던 금값은 이번 주 초 온스당 1100달러를 돌파한 뒤 13일(현지시간)에는 온스당 1116.70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고유가 시대를 의미하는 '피크오일' 시대는 가고 이제 '피크골드' 시대에 접어들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미국의 양적완화정책과 경기부양책으로 달러 약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금 생산량은 점차 줄어들고 있어 금값 강세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세계 최대 금 생산업체 캐나다 바릭골드의 아론 리젠트 사장은 최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000년 이후 전세계 금 생산량이 매년 100만 온스 가량 줄어드는 추세"라며 "금광석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는 커플들이 커플링으로 금반지를 나눠 끼는 풍속도 없어질지 모를 일이다.


◆680만→550만= 전세계 경제를 파탄으로 내몬 미국의 주택 모기지 부실이 헐리우드를 덮쳤다. 파산위기에 내몰린 영화배우 니콜라스 케이지가 압류절차에 의해 뉴욜리언스에 위치한 680만 달러 규모 집 두 채를 잃은 것.


케이지의 주택을 헐값에 매입한 당사자는 미국 앨라배마주 버밍햄에 위치한 한 지역은행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은행은 350만 달러, 330만 달러짜리 케이지 소유의 주택을 압류절차에서 각각 230만 달러, 220만 달러, 총 550만 달러에 매입했다. 뉴올리언스 시에 따르면 케이지는 모기지 채무 550만 달러를 비롯해 뉴올리언스 시에 15만1730달러의 세금을 체납한 상황이다.


케이지의 사례처럼 압류주택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내년까지 미국 주택가격이 11% 이상 추가 하락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도 나왔다. 이 경우 모기지 채무 체납이 늘어나면서 미국의 경제성장 속도는 더욱 둔화될 전망이다.


하지만 케이지를 파산으로 내몬 것은 금융위기와 이에 따른 부실 모기지 때문만은 아니라고. 백만장자들이 많기로 유명한 헐리우드에서도 케이지는 큰 씀씀이로 유명했다고 한다. 그는 전용제트기부터 시작해 초호화 요트와 유럽의 성 등을 구입하는데 엄청난 돈을 썼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의 팔레비 전 국왕이 탔던 50만 달러에 이르는 람보르기니도 케이지의 소유다.



◆1000, 300= 경기회복이 본격화되면서 골목골목 마다 더 많은 패스트푸드점과 커피전문점들이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패스트푸드 업체 맥도날드는 내년에 24억 달러를 투입해 1000개 매장을 새로 오픈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불황기 동안 중저가정책으로 쏠쏠한 재미를 봤던 맥도날드는 본격적인 경기회복을 앞두고 공격경영에 더욱 박차를 가한 것으로 보인다. 맥도날드는 올해 연간 판매 성장률을 당초 3%에서 5%로 높여 잡고 영업이익 성장률 역시 6%에서 7%로 상향조정했다.


매장 확대에 나서는 외식기업은 맥도날드 뿐 만이 아니다. 이번 주 세계최대 커피전문업체 스타벅스 역시 내년 전세계 300개 매장을 신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융위기 동안 극심한 침체에 시달리던 스타벅스는 끊임없는 기업혁신과 구조조정을 추진한 끝에 4분기 예상을 웃도는 견고한 실적을 내놓았다. 매장 확대 계획은 이에 대한 화답으로 풀이된다.



◆50= 부동산투자전문 사모펀드 론스타가 신규자금 모집을 위해 '수수료 50% 인하' 카드를 내밀었다. 론스타의 존 그레이켄 대표가 모기지채권을 포함해 부실 채권을 매입하기 위해 200억 달러를 조달하기로 결정하고, 수수료 50% 인하라는 파격적인 조건을 내건 것.


론스타의 이 같은 행보는 부동산 펀드 업계가 금융위기 이후 여전히 자본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입김이 세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풀이된다. 리서치 업체 프리퀸에 따르면 3분기 전체 부동산 사모펀드의 조달 자본규모는 49억 달러로 전년 동기의 405억 달러에서 크게 줄어든 동시에 6년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돈줄에 목이 마른 투자사들이 수수료 인하에 나서면서 투자자들은 좀 더 나아진 여건에서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강미현 기자 grob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