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복합용도개발 주민편의 고려해야”

김태경 경기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 ‘복합용도개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서 주장

[아시아경제 김정수 기자] 합리적 계획에 의해 주거, 산업, 교육, 문화 등을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연계 개발하는 복합용도개발를 할 때 주민편의를 고려해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태경 경기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6일 발표한 ‘복합용도개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자료에서 복합용도단지는 상충되기 쉬운 주거기능과 상업기능, 공공기능과 함께 주민 일상생활에 필요한 학교 등을 갖춘 복합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주민들의 쾌적성과 공공성, 안전성 등을 확보하려는 복합용도개발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수주 다변화 전략을 펼치고 있는 각 건설사들이 복합개발사업 수주에 전력을 쏟고 있어 과당 경쟁이 벌어지고 있고, 기업의 이윤추구가 우선시 되다보니 주민들에 대한 배려는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는 형세다.

실제 최근 정부는 효율적인 국토이용을 위해 용도지역 운영 개선방침을 세우고, 준주거지역과 준공업지역, 근린상업지역 등은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할 경우 복합용도지역으로 개발할 수 있게 했다.


이는 땅의 이용을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는 용도지역제도를 신축적으로 운영하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주민들의 공공성과 쾌적성 확보에 대한 고려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김 연구원은 주장했다.


주상복합과 복합용도단지에 거주하는 주민 3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주상복합건축물과 쇼핑몰, 전시관, 컨벤션, 교육문화시설, 호텔 등 다양한 시설들이 일체형 단지로 건설되는 것에 복합용도단지(City7) 주민들의 79.6%가 선호했고 주상복합의 경우도 44.7%가 긍정적인 응답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시설과 소음 및 악취에 대한 불만은 두 주민 모두 큰 것으로 드러나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태경 연구원은 “향후 복합용도단지개발에 있어서는 기능이 상충될 수 있는 주거기능과 상업기능 사이의 다양한 처리방식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공공 공간 확보에 대한 보다 강화된 기준 확보가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향후 복합용도개발은 창의적인 공간을 설계를 통해 기능·용도가 상충되지 않는 범위에서 주민들을 위한 녹지공간과 학교 등의 공공공간 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용어설명 : 복합용도개발(MXD 또는 MUD; Mixed-Use Development)이란 도심의 주요 기능인 상업, 업무 기능에 주거기능을 포함한 각 용도들을 물리적, 기능적으로 통합해 일체화된 계획에 의해 개발하는 형태를 말한다.


송도 국제업무지구, 화성 메타폴리스, 광교 파워센터, 일본의 록본기힐즈, 싱가포르의 래플즈시티, 미국의 트럼프타워와 타임워너센터, 프랑스의 라데팡스 등이 대표적이다.

김정수 기자 kj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