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대학교수와 언론인 등 지식인은 리더십 지수가 낮아 공직을 맡기에 부적합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일 서울대 리더십센터가 개발한 ‘공공 리더십 지수’(Public Leadership Index ㆍPLI)에 따르면 연구대상으로 선택된 지식인 집단의 리더십 지수는 1200점 만점에 310.70점에 그쳤다. 이는 전ㆍ현직 고위 관료의 리더십 지수(384 .30점)보다 무려 73.60점이나 낮은 것이다.
정확한 수치가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지식인 리더십 지수는 정치인, 최고경영자(CEO), 비정부기구(NGO) 활동가 등 타 집단에 비해서도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전해졌다.
항목별로 보면 지식인은 상황과 전후 사정에 맞춰 판단하는 능력인 ‘상황맥락 지능’과 창조ㆍ혁신 역량 등이 뛰어나지만 인내심과 표현력, 공공성 등은 낮았다. 특히 원활한 조직 운영에 필수적인 타인에게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고 활동의 기회를 주는 ‘위임’ 지표는 10점 만점에 2점대 초반으로 크게 뒤졌다.
반면 관료들은 다양성, 상상력, 변화관리능력 등은 부족했지만 위기상황에 동요하지 않는 초연함과 용기, 정책수립 능력, 미래지향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센터는 22일 서울대 미술관에서 열리는 창립 1주년 기념식에서 정치인, CEO, NGO 활동가의 공공 리더십 지수를 포함한 연구결과를 추가로 발표할 계획이다.
한편 서울대 재학생 70명을 대상으로 같은 조사한 결과 이공계열 학생의 리더십은 300.31점으로 인문사회계열(266.98)보다 33.33점 높았다. 이공계는 의사소통 능력과 자신감, 설득ㆍ협상력 등이 뛰어나지만 희생정신 등이 부족한 반면 인문사회계열은 도덕성과 조직적응력, 정책수립 능력이 높지만 전문지식과 변화관리 능력이 낮은 것으로 지적됐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