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위기의 시대, 명장에 길을 묻다]박윤정 현대건설 신고리원자력1,2호기 총괄소장

지구온난화에 자원고갈 시대 맞아..."원전이 차세대 에너지 대안으로 최적"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1,2호기 건설현장을 진두지휘하는 박윤정 총괄 현장소장.

박 소장은 지난 2003년 이곳 현장에 처음 발령받았다. 현장에 부임한지 벌써 6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지금에서야 주요 골조작업이 마무리단계에 접어들었다. 쉽게 말해 마무리 단계라지만, 실제 완료되는 시기는 앞으로도 2년을 더 기다려야 한다.


앞으로도 상온수압시험에 이어 내년 고온테스트를 거쳐야 하고 원료 장전을 한 이후 시험가동까지 마쳐야 한다. 1000MW급 2기 중 1호기는 이런 과정을 거쳐 내년말 완료된다. 아직 골조공사가 진행되는 2호기는 2011년말이 준공일이다.

원전 건설현장과 인연을 맺은지 벌써 32년. 박 소장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1977년 9월 월성원자력 발전소 건설현장에 처음 발은 내디뎠다. 이후에도 줄곧 원전건설 현장과 본사 원전관련 부서에서만 근무한 그는 자타가 공인하는 원전 베테랑이다.


◇품질 문제는 눈감고도 척척=그런 그에게 국가의 중요한 기반시설을 건설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물으니 의외의 답이 돌아온다.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얼마나 좋은 품질로 건설하고 있느냐를 궁금해 한다면 100% 안심해도 좋다는 말을 하고 싶다. 품질과 안전 문제는 이미 30년 안팎에 달하는 경력을 가진 수많은 엔지니어들과 함께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다." 이제는 눈 감도고 다음 시공단계에서 발생할 문제가 어떤 것이고 어떤 사전 준비조치를 해야 할 것인지도 훤히 알고 있다는 그가 고민하는 것은 무엇일까.


"현장의 역량을 100% 건설과정에 쏟아야 하는데 사실 90% 정도는 민원 해결에 매달리는 편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엉뚱한 대답같다.


하지만 박 소장의 설명을 들으니 고개가 끄덕여진다. 건설현장이 본격 착공되기 전 건설현장 인근의 주민들과 협의, 어업피해보상에 합의했던 것이 3년 전 일이다. 그런데 1호기의 상온수압시험을 앞두고서 주민들이 반대하고 나섰다.


상온수압시험이란 원전이 완공단계에 접어들어 본격 가동에 앞서 바닷물과 같은 온도의 물을 배수관로를 통해 1km 앞 바다 밑바닥으로 내보내기 위한 시험이다. 내년 1월경 실시하는 상온수압시험이 정상적이라고 판단되면 4개월 정도 후 바닷물보다 섭씨 7도가량 높은 고온수압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원전 완공까지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이다.


이미 중앙정부와 관련 지자체 등의 협의를 모두 끝내고 착공한 프로젝트에 대해 주민들의 반대가 다시 터져나온 셈이다. 어업권 등에 대한 피해보상을 다시한번 제기한 것인데 문제는 관련 지자체의 행동이다. 상온수압시험을 위한 해수점사용 허가신청서를 제출하니 주민들의 요청이 있었다며 허가를 해주지 않고 반려해버린 것이다.


◇주민협의 안돼 3년이나 늦게 시작= 이곳 현장에 처음 발령받아 착공을 하지 못하고 3년여를 허송세월 해버린 때를 생생하게 기억하는 그로서는 답답하기 그지없는 현실이다. 2003년 당시 현장 총괄소장으로 부임했으나 주민들의 보상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서 1년반동안 착공을 하지 못하자 현장을 떠나 본사로 되돌아왔다. 다시 1년반을 기다려 극적으로 협의가 완료된 이후 2006년 7월 다시 현장으로 되돌아와 첫삽을 뜬 그다.


박 소장은 "법적인 문제가 전혀 없는데도 상온수압시험을 하지 못하게 되면 가동계획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며, "전력 같은 국민생활에 필수적인 시설물을 건설하는 국책사업은 과잉민원을 방지하고 신속한 기반시설 구축을 위해 되도록 중앙정부가 인허가권을 갖는 등의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장은 민원이 문제이긴 하지만 차세대 전력 에너지원으로서 원전건설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생각은 간절하다. 현 정부 들어 '떼법'으로 일컬어지는 불법 민원을 불식시키겠다는 의지가 강력한만큼 이제는 국가전체의 전력생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대안으로 원전건설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이다.


◇자원고갈 시대 원전이 최적 대안= "자원고갈로 인한 에너지 비용급증 시대에 원전은 가장 합리적인 대안이다. 발전효율이 좋으면서도 친환경적이기 때문이다."


박 소장은 원전건설에 기여해온 자부심이 크다. 그는 "원자력의 연료비율은 13%에 지나지 않지만 석유는 72%, LNG는 86% 등으로 높다"며 "연료가격이 올라도 발전원가 영향이 가장 작아 원자력은 최적 전기생산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100만kW의 발전소를 1년간 운전할때 필요한 연료가 원자력은 농축우라늄 30톤이면 충분하지만 LNG는 110만톤,석유는 150만톤, 유연탄은 220만톤이나 든다는 것이다.


더욱이 초기 건설비는 비싸지만 현재 건설되는 원전은 최소 40년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바로 옆 고리1호기도 지난해 30년의 사용기간이 지났으나 10년간 더 사용할 수 있다고 결론나 전력생산 기간망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을 정도다.


또 친환경 발전이라고 최근 강조되는 풍력이나 태영광 등을 생각하면 더욱 원전이 부각된다는게 박 소장의 평가다. 풍력발전을 위해서는 바람의 방향과 속도가 일정해야 하고 바람이 없는 날이면 오히려 전력을 들여야 한다. 더구나 신재생에너지는 발전비용을 국가 세금으로 보조해주고 판매단가가 비싸다. 원전이 kWh당 39원에 불과하지만 풍력은 110원, 태양광은 무려 677원에 달한다.


박 소장은 "경제적 에너지원인 원전건설 시공 노하우가 외국에 비해 풍부한 만큼 이제는 눈을 세계로 돌려야 한다"면서도 "최저가 낙찰제도를 고쳐 제대로 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차세대 원전기술을 개발하는데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소민호 기자 sm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