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의료계, "신종플루 지역치료집중센터" 구축해야

타미플루 병원 직접 투약도 일시적으로 허용해야

또 한명의 신종플루 중증 환자가 나온 가운데 의료계에선 현행 ‘거점병원’의 개념과 다른 ‘지역치료집중센터’를 설치,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사회 확산을 최대한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커지고 있다.


4일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가 보건소에서의 신종플루 진단을 줄이고 전국의 주요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으로 꾸려진 이른바 ‘거점병원’으로 진단 및 치료 창구를 집중시켰다.

의료계가 우려하는 부분은 정부 방안이 자칫 신종플루 확산을 막기 보다는 오히려 병의 진원지로 기능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 질 수 있다는 것.


전염력이 강한 신종 바이러스의 특성 상 면역력이 떨어진 입원환자나 외래환자가 몰려 있는 거점병원이 오히려 병이 퍼지는 곳이 될 수 있단 주장이다.

이들은 각 지역의 국공립병원, 의료원 등을 아예 격리병동으로 만들고 기존 입원 환자들은 인근의 종합병원으로 옮겨 치료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서울의 한 개원의는 “전염병 관리의 제일 기본은 차단과 격리”라며 “일반 환자들을 그대로 둔 채 신종플루 거점 병원을 운영해선 오히려 거점병원이 신종플루 창궐의 거점지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했다.


타미플루 등 치료제를 병의원에서 직접 투약하는 방안도 일시적으로나마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고개를 들고 있다. 일반 의료기관에서 약을 타기 위해 거점약국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혹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옮길 우려가 크다는 이유에서다.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거점약국을 늘려 오히려 지역사회 확산 가능성을 높일 것이 아니라 치료집중센터를 설립해 신종플루 환자를 한곳에서 진단·진료·투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