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국, 위안화 사모펀드 규제 나서

블랙스톤이 50억 위안(7억3200만 달러) 규모의 위안화 표시 사모펀드 출시 계획을 밝힌 가운데 중국 정부가 규제에 나섰다. 중국 국가개발개혁위원회(NDRC)가 의회에 위안화 사모펀드 규제안 초안을 제출했다고 정부관계자를 인용해 17일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지난 2007년부터 위안화 사모펀드 규제안에 대한 논의는 지속돼 왔으나 의견이 엇갈렸다. 의회에 초안이 제출됐다는 것은 업계 규제에 대한 의견일치를 이룬 것으로 풀이된다. 의회에 제출된 초안의 세부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50억 위안을 넘어서는 펀드에 대해서는 좀 더 엄격한 규제를 적용한다는 방안에 대다수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 정책당국은 규제안을 통해 위안화 사모펀드 시장에서 국내 투자자들이 외국인 투자자들과 비슷한 조건으로 대형 투자거래에 참여하도록 할 방침이다.


규제안의 한가지 핵심 목표는 유능한 중국 사모펀드 업체가 외국인들만을 위해 자산을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중국 투자자들에게도 투자 기회를 안겨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번 규제안이 완성되면 중국 사모펀드 업계를 장악하고 있는 칼일라그룹과 TPG와 같은 글로벌 사모펀드 업체들은 어려움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 위안화 펀드가 완화된 규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블랙스톤은 상하이 푸동신구에 블랙스톤 중화개발 투자펀드를 선보일 계획이다. 이는 중국이 상하이를 홍콩에 견줄만한 국제금융지구로 만든다는 계획에 따른 것이다. 지난 6월 푸동신구 지방정부는 외국계 사모펀드업체에 대한 규정을 제출한 바 있다.


오멜베니&마이어즈의 하워드 차오 아시아담당자는 “푸동신구에 400개의 위안화 사모펀드와 15억 이상의 외국인 참여 위안화 펀드가 조성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공수민 기자 hyunh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